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성제와 연기법의 결합에 대하여_초기불전을 중심으로_ (On the Combin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2.08
35P 미리보기
사성제와 연기법의 결합에 대하여_초기불전을 중심으로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5호 / 115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홍미

    초록

    초기불전에서 사성제의 틀에 연기법의 구성요소들을 대입한 유형은 붓다가 깨달은 것이면서 해탈체험을 원하는 제자들이 반드시 여실지견해야 할 보편적인 진리들 가운데 하나로 제시된다. 본고는 사성제와 연기(=12연기)의 구성요소들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어떻게 결합되었는지에 대한 검토이다. 이것은 마치 재건된 옛 도시처럼 옛 길(=팔정도)을 따라가면서 발견한 옛 틀을 의지하여 만든 새로운 유형이며, 이러한 결합의 근거는 사성제에 함축된 보편성 때문이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먼저 붓다의 정각과 관련된 루진지와 초전법륜의 기술을 비교분석하여 중도를 바탕으로 사성제와 정각사이에 전제된 정형적 관계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사성제의 도출과정을 탐색하여 그 틀 속에서 응용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적절한 이유와 그에 따른 다양한 응용 사례들을 찾아보고, 그것을 기초로 연기법의 구성요소들이 적용된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성제는 고통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들을 반야에 의해 여실지견하는 틀이고, 이 유형은 연기법으로 사성제의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결합되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at a form applied component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Paṭiccasamuppāda) in the formula for the Four Noble Truths. It's one of universal truths will be immediately realized with discriminating insight(paññā), as it were, Buddha's disciples thoroughly understand aging-and-death(jarāmaraṇa), its origin, its cessation, the way leading on its cessation. In this way, the form employed besides ignorance(avijjā), factors of a twelvefold Dependent Origination instead of suffering(dukkha). New form discovered that Buddha had been followed the ancient path travelled by the Perfectly Enlightenment Ones of the past, As if it reconstructed an ancient city that had been inhabited by people in the past. Because it grounded on the Four Noble Truths as old mold.
    To address this issue, to begin with, I examined description of the Buddha's full enlightenment as liberating insight of the vanishing of the cankers(āsavānaṃ khayañāṇa) and "first sermon". So, I confirmed that there was a fixed association between complete enlightenment and insight into the Four Noble Truths. Both cases originated from the state of perfect equanimity(upekkha) and awareness(sati). Subsequently, I inquired about how the Four Noble Truths originated?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the truth of suffering has been fully understood derive from remembrance of one's own former lives and the observation of the dying and being reborn of other living beings. And the truths of its origin has been abandoned supplement intuitional confirmation about the truth of suffering. Likewise, the truths of its cessation has been realized include liberation and knowledge of one's being liberated. Finally, the truth of the path has been practised comes from the middle way as right concentration in the noble eight-fold path. And then, on closer examination, I analyzed the example of same narrative systems, which employed cankers, the five Skandhas, world(loka), view(diṭṭhi), nutriment(āhara), and identity(sakāya) in place of suffering in the formula for the Four Noble Truths, as objects of liberating insight or intuition(ñāṇadassana). I understood that all cases will be insighted with discriminating insight for the cessation of suffering.
    In brief, Buddha had to apply his disciples transformed system of truth to reach a liberating insight, intuition which could be expressed in words. in this way Buddha and his disciples intensified and transformed combination of truths, which seems to be, observable to every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