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국신민화 정책기 학교 교육의 변질과 여학생의 전시동원 (Changes in School Education and the Mobilization of Female Students during the Asia-Pacific War)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4.11
37P 미리보기
황국신민화 정책기 학교 교육의 변질과 여학생의 전시동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96호 / 147 ~ 183페이지
    · 저자명 : 박현옥, 장규식

    초록

    중일전쟁 이후 조선총독부는 교육령을 개정하여 전시 교육체제를 구축해나갔 다. 이때 공포된 제3차 조선교육령에서 표방한 여성교육의 목적은 자녀를 황국 신민으로 길러내는 ‘군국의 어머니’ 양성이었다. 태평양전쟁의 발발 이후 총독부 는 1943년 제4차 조선교육령을 개정 공포하여 산업전사로서 여성의 실천적 ‘책 무’를 강조하였다.
    전시체제하 학교현장에서 조선어의 사용은 금지되었고, 여학생의 교복은 1942 년부터 획일적 국민복으로 대체되었다. 식민당국은 1943년 여자체력장 실시를 통해 전시동원을 위한 개인체력의 ‘표준화’에 박차를 가하였다. 그런 가운데 학 생들의 전시 동원이 일상화하였다. 여학생들은 위문편지를 쓰고, 위문품과 국방 헌금을 거둬 상이군인이나 전사자 유족들에게 전달하는 행사에 동원되었다. ‘위 문’을 매개로 한 ‘여성성’의 동원은 폭넓게 이루어졌다.
    여학생의 근로동원은 1941년부터 생산력 확충 특히 식량증산을 위한 일반 노 무동원으로 확대되었다. 더불어 학교에서 방공훈련이 일상화하면서 정규수업은 형해화해 갔다. 여학생들은 학교 방호와 가정 방호의 책임자로서 후방을 지키는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부터는 전시 구호교육이 강조되어, 여학생들은 간호법 이론을 공부하고 실습을 하였다. 이렇게 학교가 전시교육과 근로동원, 방공훈련을 수행하는 ‘전쟁의 훈련장’으로 변질되면서, 근대적 여성으 로서의 배움과 사회 진출에 대한 학생들의 열망은 굴절될 수밖에 없었다.

    영어초록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vised the Education Ordinance to establish a wartime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women's education, as stated in the 3rd Joseon Education Ordinance promulgated at that time, was to nurture the "mothers of the militarized state". In 1943, the Government-General promulgated the 4th Joseon Education Ordinance, emphasizing the practical "responsibility" of women as industrial warriors.
    Under the wartime regime, the use of Korean language in school sites was prohibited, and female students' uniforms were replaced by national uniforms from 1942. As the colonial authorities spurred the "standardization" of individual physical fitness for wartime, the mobilization of students became commonplace. In addition, the mobilization of 'femininity' through the medium of 'condolence' was carried out extensively.
    The mobilization of female students to work was also extensive. In 1941, the labor mobilization of female students, which was concentrated on housework-related work in the early days of the war, expanded to general labor mobilization to increase food production. Along with the mobilization of labor, air defense drills became commonplace in schools, and regular classes became shrinked. As schools were transformed into "training grounds for war" in which wartime education, labor mobilization, and air defense training were conducted, students' aspirations for learning as modern women and entering society were forced to be refra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