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에서의 ‘바람(wish)’ 개념의 실현 방책과 범주에 대하여 (On the Strategies and Grammatical Categories that Denote a Concept of ‘Wish’ in Korea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한국어에서의 ‘바람(wish)’ 개념의 실현 방책과 범주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78호 / 361 ~ 390페이지
    · 저자명 : 도재학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바람’ 개념의 다양한 실현 방책을 확인하고그범주를 규정해 보고자 하였다. 문장, 어휘적 어사, 문법적 어사와 관련된 일곱가지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①명령문의 기원적 해석, ②청유문의 기원적 해석, ③기원문 표지 ‘-소서’의 사용,④연결어미 ‘-면’이 이끄는 반사실적 조건절의 기원적 해석, ⑤기원을 나타내는 동사를 서술어로 사용, ⑥희구를 나타내는 우언적 구성의 사용, ⑦‘제발, 꼭, 부디, 아무쪼록’ 등을 ①-⑥ 의 경우와 함께 사용, 등이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문법 범주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①, ②의경우는 문법 범주로서의 문장 유형으로 ‘명령문’과 ‘청유문’을 설정하였다. 화자가 원하는 사태가 수행주의 통제 가능성 밖에 있을 때 기원의 의미가 해석된다. ③의 경우는 기원문 표지 ‘-소서’를 설정하고 이것이 사용된 문장 유형 ‘기원문’을 설정하였다. 문말 서법으로서는 간접인용절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명령법’으로 보았다. ④의 경우는 조건의 연결어미 ‘-면’이 이끄는 반사실적 조건절을 ‘부사절’로 규정하였고, 의미 특성을 강조한다면 ‘조건 부사절’로 부를 수 있다고 보았다. ⑤의 경우는 기원이라는 의미를 공유하는 ‘기원 동사’를 설정하였다. ⑥의 경우는문법적 양태로 규정할 수 있고, 의미를 특정한다면 ‘희구의 동적 양태’로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⑦의 경우는 ‘양태 부사’이고 의미 특성을 강조하면 ‘기원양태 부사’로 설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간 종합적으로 논의된 바 없는 다섯 가지 우언적 구성들을 대상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various strategies for expressing a concept of ‘wish’ and designating individual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m. The biggest reason for this discussion is that ‘wish’ was little treated conceptual category in Korean linguistics. There are seven ways that could mean ‘wish’; ①optative interpretation of imperative sentence, ②optative interpretation of hortative sentence, ③use of optative sentence marker ‘-soseo’, ④optative interpretation of counterfactual conditional clause led by connective ending ‘-myeon’, ⑤predicative use of verbs denoting ‘wish’, ⑥use of periphrastic construction denoting ‘wish’,⑦ use of optative modality adverb ‘jebal, budi, amujjorog, etc.’ with the strategies ①-⑥ .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①-⑦ are as follows. ① and ② are imperative sentence and hortative sentence as grammatical sentence type. These are interpreted as optative when a situation desired by the speaker is out of controllability of the agent. ‘-soseo’ of ③ is an optative sentence marker, and the whole sentence is optative sentence. In this case, it is imperative mood in terms of a property that is expressed by ‘-(eu)ra’ in the indirect quotation clause. ‘-myeon’ of ④ is connective ending, and the clause led by it is a conditional adverbial clause. In ⑤ and ⑦, verbs and modality adverb of ‘wish’ could be set up as a kind of lexical classes. And ⑥ is desiderative (grammatical) modality that is not necessary and have nothing to do with any speech-act. Finally, it is examined t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ive periphrastic constru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