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극기에 관한 역학적 검토 -개정논의와 관련하여- (The review of Korean National Flag ‘Taegeukgi’ based on the principle of ‘Iching' - in relation to Taegeukgi reform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4.08
29P 미리보기
태극기에 관한 역학적 검토 -개정논의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7호 / 351 ~ 379페이지
    · 저자명 : 최정준

    초록

    강화도조약(1876) 체결 이후 조선은 국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 후 조미수호통상조약(1882)체결 때 조선국기가 처음 등장하였다. 최초의 국기는 ‘조선의 깃발’이었다. 이것은 이응준이 제안한 것으로 조미수호조약 때 사용되었지만 국가의 공인을 받지 못했다.
    이 즈음 청의 마건충(馬建忠)은 ‘조선의 국기가 일본 국기와 혼동된다’며 태극에 8괘를 그려 국기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고종은 박영효에게 국기제작을 지시하였다. 1882년 박영효는 일본으로 가는 배안에서 태극기의 모델을 제작하여 임금에게 보냈다. 이 국기는 가운데 태극문양의 원과 8괘에서 뽑은 4괘로 구성되었다. 박영효는 세계를 돌아다니며 각국의 국기를 보아온 영국인 선장 제임스의 조언에 따라 4괘를 국기의 네 모서리에 배치시켰다.
    박영효는 제작한 태극기를 일본에서 게양하였다. 1883년 1월 27일(양 3.6)에는 정식으로 국가의 국기 반포가 있게 되었다. 이후 태극기의 역사는 혼돈기를 거쳐 1949년 공포에 이른다.
    현행 태극기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얀 바탕, 가운데 빨강과 파랑의 태극음양 부호, 사각에 위치한 4괘이다. 이것들은 모두 주역의 음양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렇지만 현행 태극기의 모양은 근본적으로 ‘태극(太極)’의 전거이자 오래된 동양고전인 『주역』사상의 원리와 맞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현행 태극기는 개정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태극기 개정과 관련하여 음양의 주요원리로 4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태극이 음양을 생한다는 일생이(一生二)의 원리이다. 둘째는 음양대대(陰陽對待)의 원리이다. 셋째는 음양은 소식(消息)과정에서 양극을 지니는데 방위와 관련해볼 때 양극이 곧 남북이라는 원리이다. 넷째는 좌양우음(左陽右陰)의 원리이다. 이 중에 태극기 모양이 『주역』사상의 이론과 맞지 않는 부분은 셋째와 넷째이다.
    태극기의 4괘인 건곤리감(乾․坤․離․坎)괘가 태극기의 모서리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음양의 양극점이 정남[양극]과 정북[음극]을 가리키지 못한다. 따라서 태극기의 음극과 양극을 다시 정남정북인 상하로 위치시켜야 한다. 건·곤·리·감이 각각 남북동서(南北東西)에 위치해야 한다. 태극기의 개정은 양극점을 남북으로 위치시키는데서 그치면 안 된다. 더 나아가 좌양우음의 원리와 부합하기 위해서는 가운데 원의 S자형이 좌우대칭의 을(乙)자형으로 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After Japan–Korea Treaty of 1876, Joseon government recognized the need for having a National Flag. The first national flag is named 'COREA Ensign'. it was proposed by Lee Eung-jun(李應俊), and used 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but it did not gain official approval. At that time, Ma Jianzhong (馬建忠) suggested a flag with Taegeuk circle in the center, with eight trigrams around the flag.
    Gojong(高宗) of Joseon directed Park Yeong-hyo to create official national flag of Joseon government. On August, 1882, Park Yeong-hyo created a model of the Taegeukgi in the ship and posted it to the Joseon government. it is a flag with Taegeuk circle in the center, four black trigrams, which are selected from the eight trigrams. Park listened to the British captain James's advice and arranged four black trigrams on each corner of the flag.
    In the year 1882, Park used the Taegeukgi in the Empire of Japan. On March 6, 1883, the Joseon government officially proclaimed Taegeukgi as the official national flag. The current Korean flag, Taegeukgi was declared official by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on October 15, 1949.
    Taegeukgi, the national flag for the Republic of Korea has three parts: a white background, a red and blue Taegeuk(太極) yin and yang(陰陽) symbol in the center, and four black trigrams(四卦), on each corner of the flag. The circle in the middle and four black trigrams are derived from the philosophy of yin and yang in ‘Iching’(易經). However the design of current Korean flag, Taegeukgi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philosophy of yin and yang in ‘Iching’(易經). So Taegeukgi must be reformed.
    With reference to Taegeukgi reform, This paper suggest four conditions as the philosophy of yin and yang in ‘Iching’(易經). Four conditions are as follow: First, “One(Taegeuk) differentiates into two(Yin and Yang)”. Second, Yin and Yang, as two sides of universe, are directly opposite to each other. Third, Yin and Yang have yinji(陰極) and yangji(陽極) of climate change. yinji(陰極) means Beiji(北極) and yangji(陽極) means Nangji(南極) in cardinal points. Fourth, the principle of left-yang-right-yin(左陽右陰). The design of Taegeukgi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Third and Fourth.
    Because four black trigrams of Taegeukgi; Geon(乾), Gon(坤), Ri(離), Gam(坎) are on each corner of the flag, yinji(陰極) can't mean Beiji(北極) and Yangji(陽極) can't mean yangji(南極) in cardinal points. So we must place yinji(陰極) and Nangji(陽極) on Beiji(北極) and Nangji(南極) in cardinal points. Geon, Gon, Ri, Gam must be placed on cardinal points south, north, east, and west.
    Furthermore, S-shaped in circle must turned to bilateral symmetry of S-shap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ft-yang-right-yin(左陽右陰).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