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가요 연구 결과의 공유와 확산에 대하여 (Sharing and Disseminating of Koryŏgayo Research Resul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7.05
28P 미리보기
고려가요 연구 결과의 공유와 확산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35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최미정

    초록

    이 글은 2000년 이후의 고려가요에 대한 학계의 연구를 살펴, 그 문제점을 정리하고 고려가요 연구가 앞으로 주력할 부분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제기한 것이다. 고려가요 연구자가 스스로의 노력에 대한 권리를 지키며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해 주는 가운데, 연구결과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최근의 관심들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필자의 견해를 어석의 문제, 역사학적 접근의 길 찾기, 문화콘텐츠에 대한 지식 제공의 세 분야에서 아래와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어학과 문학 연구가 만나는 고려가요 연구에서 연구의 원칙과 윤리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난해구를 비롯한 몇몇 어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거듭되고 있는 현실은 재고가 필요하다. 문학연구자가 어학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새로운 어석을 주장할 때는, 선행 문학연구가 활용한 국어학 이론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거쳐 재론의 필요성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또한 명백하게 오류로 판명된 과거의 어석을 근거로 문학논의를 진행할 때는 그에 대한 오류를 지적했던 선행 어학 이론에 대한 반론을 제기해야 할 것이다. 한편 어학연구자가 문학연구자의 상상력을 작품 전체의 이해 틀로 사용할 경우, 반드시 선행 문학연구의 출처를 밝혀야 하는 것은 꼭 필요한 연구윤리이다. 인접학문의 활용에는 자신의 영역에서보다 더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당대 자료가 빈약한 고려시대의 문학 연구에서 특히 취약한 역사적 접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려사』를 함께 읽고 연구하는 모임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고려사』에서 가요와 악에 대해 서술하는 방식 등을 체계화해 고려가요의 발생과 관계된 정황 등의 연구에 적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려가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을 다양화하기 위해, 조선의 악장에 대한 연구와는 별도로 고려의 악장 연행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불교국가 고려에서 사랑노래가 주를 이룬 악장의 수용 현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 연행 공간인 궁중과 사찰에 관한 연구도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하며, 고려가요 연행 현장에서 창작자와 향수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적 교감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 그리고 이들 연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에는 고려가요 연구자의 업적을 참조하였음을 반드시 밝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view the literature on koryŏgayo(高麗歌謠) since 2000, summarize the problems highlighted in the literature,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ree-fold: to discuss mutual consent in the lexical reinterpretation of koryŏgayo, directions for the historical approach, and the knowledge of koryŏgayo for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irst, there is a need to reaffirm the principles and ethics of koryŏgayo studies, which combine linguistics and literary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reinterpretations of some words or difficult phrases have been suggested previously. When literary researchers claim a new reinterpretation of such words or phrases using the results of linguistic research,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need and valid reason for rethinking. In particular, if the literary research is based on past linguistic interpretations that have been proven erroneous, the preceding linguistic theory should be questioned. However, if linguistic researchers use the ideas of other literary researchers as the complet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work of koryŏgayo, it is their ethical obligation to cite the previous literary studies as their source. The use of knowledge from adjoining disciplines requires a more cautious approach than in their own sphere.
    Second, there is a practical need for study groups to read and study together to facilitate historical research on koryŏgayo, despite the shortage of data on Koryŏ. This joint research is expect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Koryŏsa music, which could be used to reveal the context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koryŏgayo.
    Third, to provide useful knowledge for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using koryŏgayo,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koryŏ akjang(Koryŏ court music), separate from that of chosŏn akjang, should be increased. Considering that royal palaces and temples provide an interesting setting for cultural content, they should be examined using various approaches.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kind of atmosphere in which a series of love songs were performed as the main repertoires of court music in the presence of a king in the Buddhist country of Koryŏ, the aesthetic sympathy between the creator and the audiences should be analyze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ferences to koryŏgayo research to enable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