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기벌포 위치비정에 관하여 (A Study on the Location of Gibeolpo in Baekj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07
54P 미리보기
백제 기벌포 위치비정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북악사론 / 18호 / 69 ~ 122페이지
    · 저자명 : 이재준

    초록

    기벌포는 7세기 삼국통일 전쟁의 최초 전투 현장이면서 마지막 결전장이었다. 역사적 의의가 깊은 기벌포의 위치는 충남 서천일대라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소수의견도 상당수 존재한다. 고대에 기벌포에서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들이 많고 사료마다 명칭이 다르게 표기되어 있기 때문이다.
    660년 위기의 백제는 방어전략 회의에서 ‘기벌포’・‘백강’을 막으라고 했다. 당나라 소정방이 상륙했던 곳을 한국사료-‘기벌포’・중국사료-‘웅진강구/웅진구’・일본사료-‘미자진’으로 기록되어 있다. 661년 백제부흥군 최고사령관 도침은 백제부성의 포위를 풀기 위해 추가 투입된 당나라와 신라의 증원군을 ‘웅진강구’에서 막으려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663년에 백제와 왜가 연합한 함대와 당나라 전함이 대 해전을 벌였다는 곳은 한국사료-‘백사(白沙)’・중국사료-‘백강구’・일본사료-‘백촌강’으로 기록하고 있다. 676년 신라가 당나라 설인귀와 싸운 장소는 ‘소부리주 기벌포’로 기록되어 있다.
    종합하면기벌포=백강=웅진강구=웅진구=미자진≈백강구=백촌강=백사라는추정이 가능하다. 주요 사건별로 지역명칭을 달리하고 있으나 모두 같은 장소로 추정된다.
    그동안 연구는 각각 다르게 기록된 사료와 각종 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지 않고 해당 사건만을 분석하여 위치 비정을 시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다 보니 기벌포 위치 비정에 대한 연구결과는 사건별로 상이하게 나타기도 했다. 이렇듯 여러 가지 설이 난무하여 혼란스러운 지경이다.
    이에 기벌포에서 발생한 5가지 사건별로 그동안 제시된 의견을 비교분석하여 그 위치를 비정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벌포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금강하구인 서천일대로 볼 수가 없었다. 금강의 중상류에 위치함이 타당하였다. 구체적인 지점으로는 논산시 성동면의 불암산부터 부여군 석성면의 석성천이 금강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사이로 보았다. 단지 백강구 전쟁의 백강구・백촌강은 금강하구와 금강 중상류 중 하나로 추정되지만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Gibulpo was the first battleground and the last decisive battleground of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in the 7th century. Gibulpo has a deep historical significance. Gibulpo is widely known as Seocheon, Chungcheongnam-do. However, there are many minority opinions that it is not Seocheon, Chungcheongnam-do. There are a total of five historical events that took place in Gibulpo. The names of Gibulpo are recorded differently in the historical records.
    First, in 660 Baekje recorded it as a place that must be blocked to defend the country at a defense strategy meeting to defend the country. It is also recorded as a Baekgang. Second, it is recorded as Woongjingang-gu or Woongjin-gu as an area that landed when Sojeongbang of the Tang Dynasty invaded Baekje. Third, during the Baekje Revival War in 661, the place where Dochim,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Revival Army, blocked Tang and Silla County was called Woongjingang-gu. Fourth, in 663, the place where the Japanese and Baekje allied forces fought in the sea with the Tang navy was Baekgang-gu. Fifth, in 676, Silla and the Tang Dynasty fought a naval battle at Gibulpo, Soburiju.
    Gibeolpo, which Baekje's adults and Heungsu told them to stop, was the same place as Woongjingang-gu, where Sojeongbang landed. And it was Woongjingang-gu, where Dochim tried to stop Tang and Silla. In addition, Soburiju Gibeolpo, where Silla and Tang fought in 676, was the same area.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militarily and literatur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Gibulpo.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events individually, four places were identified as the same place.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the location of Gibulpo Port has been known to the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so far, and it has been confirmed to be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Specifically, it was identified as Bulamsan Mountain and Dochisan Mountain in Seongdong-myeon, Nonsan-si from Godajin, Sedo-myeon, Buyeo-gun. However, the war zone in Baekgang-gu in 663 was found to be the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and the upper and lower reaches, so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북악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