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the Tea Culture Places and Tea Gardens of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8.12
13P 미리보기
A Study on the Tea Culture Places and Tea Gardens of Korea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16권 / 1 ~ 13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장혜영, 최종희

    초록

    Despite the relatively large amount of tea culture related data in Korea, there are few tea culture spaces existing in comparison with China or Japa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friendly tea culture in Korea. Based on the previous poi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cation, space,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 culture and representative tea that can represent tea culture space.
    As tea places and tea gardens of Korea indicate, traditional tea culture places are very diverse and variable depending on the places’user and spa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dominant thoughts, such as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addition, Korean tea gardens have strong characteristic with open structure to naturally connect gardens and natu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Korean tea gardens referenced in this article—Dongcheonsuksil Garden, Baegundong Garden, Dasanchodang Garden, Iljiam Hermitage, and Hwallaejung Pavilion—were all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Tea gardens, such as pavilions and forests were mainly located in mountain valleys in order to take advantages of beautiful scenic views and high-quality water. Additionally, the positionning of tea gardens was closely related to the location of Camellia sinensis habitats especially in Jeollanam-do.
    Tea culture places were for monks, classical scholars, writers and noblemen. Thus, the places commonly hosted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poetry, caligraphy, and drawings; and activities, such as moral training, relaxation, and seclusion. Tea gardens belonging to temples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tea houses and gardens: there were no designated places for drinking tea, and outdoor tea places where one could commune with nature when drinking tea using simple tea things were preferred.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did not make specific places for a tea life; instead, they naturally connected their tea life places with forests, yards, houses, and tea pavilions. When drinking tea, noblemen loved and enjoyed the arts in nature, and expanded their world of art. This might be mainly influenced by Taoism ideas.
    Korean tea gardens are non-standardized and nature itself balances their freedom and autonomy. This characteristic of Korean tea gardens is based on the Korean people’s a intrinsic view of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