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ulture and Society : A Note on Tradi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1997.02
19P 미리보기
Culture and Society : A Note on Tradition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3호 / 239 ~ 257페이지
    · 저자명 : 윤혜준

    초록

    πlÏs metacritical essay on one of the late Raymond Wil1iams’ major critical acllievements founds itself on a double sense of πaditíon : the "culture and society" tradítíon itself wllich Wil1iams fírst presented in its unique coherence, and,in keeping with Wil1iams’ own keen interest in pedagogícal polítícs, the tradítíon of teaclling tllis particular tradition of critícal discourse. At the same time,moreover, Wil1iams' signifícant lifework that uniquely stood at the converging points of diverse disciplines -- literary studies, media studies, linguistics, and social theory -- certainly demands in itself the kind of careful scrutiny due to a body of writing approaclling the status of a distinguished traditíon. But tllis is by no means to suggest that we should nail a canonizing lid on Williams' coffin. If anytlling,llis death should not close off the essentìal open-endedness of hìs works and their rich suggestíveness. Such insσuctive openness of his works ís what we aim to ìl1usσate by lìsting some key contradìctions that seem to guarantee paradoxically the very vitality of the tradition that he reconstructed in Culture and Society, llis fìrst m멍or publica다on. In our vìew, the areas of ambiguìtìes and impuritìes wìtllin the "culture and society" tradìtion disqualifies it as a closed, sanctìfied canon. Yet this is precis려y what makes it a vibrant tradition that ìs open not only to new pllilological or critical findíngs but to notlling less than the secular llistory outsìde the world of literary heritage itself.
    We begin, then, in a properly Williamsian fasllion, with the key term of "culture," wllich is itself tom apart by two opposing meanings -- culture as a body of exceptionally representative textual relics and culture as what Williams calls "a whole way of life. 1I1) It is primarily in the former sense that the idea of culture links itself to the notion of tradition, in particular, that of a "great tradition"seπing as a monumental criterion and ground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identity of a particular cultural community. Obviously enough, the slightest emphasis on the coherence of a self-coherent heritage can easily lead to various forms of exclusion along the line of ethnic, class, or gender divides. For this reason, the idea of heritage (Erbsch야), as Michel Foucault points out, needs to be balanced with the Nietzschean notion of Herku핸 (descent, derivation, provenance),so that we may "not be deceived into thinking that this heritage is an acquisition,a possession that grows and solidifies." Instead, Þoucault goes on, heritage should be conceived as "an unstable assemblage of faults, fissures, and heterogeneous layers that threaten the fragile inheritor from within or from underneath."2) The heterogeneous and dynamic instability of "culture and society" as a πadition,however, situates itself dialectically between the opposing poles not only of the two versions of culture, but also between "culture" and "society." If in the first opposition, the closure of literary or intellectual history is dismantled by the general "way of life" which at once envelops and eludes the cultured tradition, in the second opposition, "culture" is made to confront rival questions and claims which the problematic of "society" necessarily brings in. In a sens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senses of culture can be seen to be a part or moment of the conflict between culture and society, for conceiving culture as "a whole way of life" is to indicate the point where "society" antagonizes the literary-textual sense of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