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간호사 근로 실태 연구: 일차의료 만성질환 관리사업 참여를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Primary Care Nurses in the Communi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4.08
34P 미리보기
지역사회 일차의료 간호사 근로 실태 연구: 일차의료 만성질환 관리사업 참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기요양학회
    · 수록지 정보 : 장기요양연구 / 12권 / 2호 / 31 ~ 64페이지
    · 저자명 : 박한나, 신동수, 김현정, 박미숙, 이종은, 연현주, 정희영, 최은민, 윤주영

    초록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질병 패러다임이 급성에서 만성으로 변화함에 따라 일차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성공적인 일차의료 정착을 위해 팀기반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간호사는 핵심 인력이다. 그러나 증가하는 일차의료 간호사 수요에 반해 확보는 어려운 상황으로 다각적 논의가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현재 동네의원 내 일차의료 간호사의 운영 현황과 근로실태를 파악하고, 근무 지속요인과 저해요인을 탐색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된 환자 수는 평균 136.5명이며, 하루 평균 시범사업 관련 업무 수행 시간은 3.7시간이었다. 지난 1주일간 총 교육·상담한 환자수는 23.3명, 간호사 한명 당 평균 관리하는 환자 수는 72.9명이었다. 주요 수행 직무는 시범사업 설명, 신청서 및 개인정보처리 동의서 작성 지원, 문진, 혈압 및 맥박 측정, 기본 교육, 대면 상담, 주간 회의였다. 상대적으로 적게 수행되는 직무는 다른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 환자 의뢰, 지역사회 자원 소개, 맞춤형 검진 바우처 비용 청구였다. 주요 어려움은 과중한 업무량과 낮은 연봉 수준이었으며, 팀워크와 협력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고, 간호사 직업 전문성 부분에서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대다수 간호사는 6개월 내 이직 의향이 없었고, 이직 의향의 주된 이유는 낮은 보수와 과중한 업무량이었다.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근무 지속 촉진 요인은 주도적이고 자율적인 업무, 시간 활용의 유용성, 독립적인 업무 공간, 환자와의 긍정적인 관계, 의사와 환자로부터의 인정이었고, 근무 지속 저해 요인은 고용의 불안정성, 낮은 급여와 인센티브 부재, 행정부담, 의료진과 환자의 인식 부족이었다.
    국내 일차의료 간호사의 인력 확보와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일차의료 간호사의 인력 확보와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South Korea transitions into a super-aged society, the disease paradigm is shifting from acute to chronic condition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imary healthcare. To successfully establish primary healthcare, team-based service delivery is essential, with nurses serving as key personnel.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for primary healthcare nurses, securing adequate numbers of these professionals remains challenging, necessitating urgent and multifaceted discuss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of primary healthcare nurses in local clinics through online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exploring factors that promote and hinder job retention.
    The online survey results reveal that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registered in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ilot project is 136.5, with nurses spending an average of 3.7 hours per day on tasks related to the project. Over the past week, nurses educated and counseled an average of 23.3 patients, with each nurse managing an average of 72.9 patients. Key duties included explaining the pilot project, assisting with the completion of application forms and consent forms for personal data processing, conducting interviews,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pulse, providing basic education, conducting face-to-face consultations, and participating in weekly meetings. Less frequently performed tasks included referring patients to other medical institutions and public health centers, introducing community resources, and claiming customized examination voucher costs. The primary challenges were heavy workloads and low salary levels, although teamwork and collaboration were generally positive, and job satisfaction was highest in the area of nursing professionalism. Most nurses did not intend to leave their jobs within the next six months, with the primary reasons for those considering leaving being low pay and excessive workload.
    Focus group interviews identified factors promoting job retention, such as autonomous and proactive work, effective time management, independent workspace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recognition from doctors and patients. Conversely, factors hindering job retention included job insecurity, low wages and lack of incentives, administrative burdens, and insufficient awareness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active efforts by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to secure primary healthcare nursing staff and improve working conditions. This study's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efforts to recruit primary healthcare nurses and enhance their working environ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기요양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