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경성의 창기업(娼妓業) 번성과 조선인 유곽 건설 (The Prosperity of Prostitution in Gyeongseong and the Construction of The Joseon red light district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 Regime in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5.10
32P 미리보기
일제시기 경성의 창기업(娼妓業) 번성과 조선인 유곽 건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도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 14호 / 161 ~ 192페이지
    · 저자명 : 박현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경성 신정유곽의 건설 과정과 입지조건, 유곽의 번성에 따른 신정유곽의 확대 양상, 그리고 조선인 유곽 건설과 신정유곽과의 관계 등을살펴보는 것이다. 신정유곽은 1904년 10월 1일 영업을 시작했다. 경성에 유곽이 건설된 것은 1904년 2월 시작된 러일전쟁으로 인한 일본인 남성 인구 증가, 재경성 거류민단의 지속적인 수입원 마련 등이 주된 이유였다. 신정에 유곽이 만들어진 이유는 세 가지이다. 신정에는 유곽 건설에 적합한 공지가 있었고, 신정은 유곽 건설 당시 일본인 거류지 외곽에 위치하였으며, 능선과 하천 등 자연지형으로 주변과 분리되어 있었다. 그리고 주변에 군대가 있었고조선인과 부딪칠 장애 요소가 적었다.
    신정유곽 건설 이후 유곽이 번성하였다. 이는 민족을 가리지 않았으며, 유곽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성매매 관련 업자나 예창기의 수도 늘어났다.
    따라서 신정유곽은 상당한 이익을 거두었다. 유곽이 번성하면서 신정유곽 또한 점차 내부가 확장되었다. 처음에는 대좌부의 수가 10곳 정도에 불과했지만, 1920년대에는 40곳까지 늘어났다. 이와 더불어 신정유곽의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대좌부가 늘어나면서 대좌부를 수용할 대지를 정비해야 했던 것이다. 따라서 필지구획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한편, 신정유곽이 건설된 이후로 조선인 창기의 수도 늘어났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1917년부터 조선인 창기를 한곳으로 이전시키기 시작했고, 1919년서사헌정과 병목정 일대에 조선인 유곽이 만들어졌다. 1917년부터 이러한 조치가 시작된 이유는 1915년 물산공진회와 1916년 조선 상주사단 창설로 일본인 남성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조선인 유곽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사헌정의 경우 신정의 동쪽 경계와 맞닿아 있어 신정유곽과 조선인 유곽의 중간지대이거나 신정유곽의 영업지역이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병목정은 조선인이 주인인 대좌부만 존재했던 지역으로, 신정유곽이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반면 병목정은 갑작스럽게 조성되면서 대좌부가 좁은 지역에 밀집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조선인 유곽은 신정유곽 내부가 아닌 신정유곽 주변에 건설되었는데, 이는 민족 구분이라는 변수가 유곽 입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두 유곽의 이러한 구분은 입지조건뿐만 아니라 당시 유곽을 찾는 사람들의 심리상으로도 나타났다. 일제시기 유곽을 다룬 소설을 보면 신정유곽과 조선인 유곽은 당시 사람들에게 이중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공간적으로 구분되어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창기업과 유곽은 일제시기 경성 사회에서 양날의 검이었다. 기독교 세력 등이 제기한 폐창운동, 시가지 확장에 따른 유곽 이전문제, 조선인 신문에서 제기되는 창기들의 애처로운 삶의 문제 등 수많은 비판에 직면하는 한편으로 서두에서 본 것처럼 조선인의 삶 속에 정착하여 새로운 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에 없었던 유곽이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유곽은경성이라는 도시공간의 일부를 변화시켰으며, 나아가 조선인의 삶에도 영향을미쳤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site condition of Shinjeong red light district in Gyeongseong, its enlargement asp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red light district, its relationship of Shinjeong red light district.
    Shinjeong red light district initiated its business on October 1, 1904. The outbreak of Russo-Japanese War in February 1904 led to increase in Japanese male population, and for securing stable source of revenue the Mindan constructed the red light district. The three reasons why the red light district was created in Shinjeong were: the area was an open area appropriate for constructing a red light district; Shinjeong was located outside of Japanese settlement in 1904 and naturally was differentiated from ordinary settlement; and it was around the army and the obstacle elements to clash with Joseon people were small.
    After the Shingjeong red light district was constructed in Gyeongseong, prostitution became prevalent. The prosperity of prostitution did not differentiate ethnicity. As the demand for red light districts increased, the Shinjeong red light district obtained considerable profits.
    Meanwhile, as prostitution by Joseon women increased, the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 started to manage it. Accordingly, regulation rules were proclaimed in 1916 and a Joseon red light district was built around Seosaheonjeong and Byeongmokjeong.
    Dongshinji red light district was constructed around the Shinjeong red light district; The variable of ethnic differentiation appears to have affected the position of Joseon red light district. Such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red light districts reflects psychology of those who visited them as well as the conditions of the lo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