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조업 작업조직 특성에 따른 현장관리자의 역할 차이 (The Differences in Role of Frontline Supervisor depending on Types of Manufacturing Work Organization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3.11
36P 미리보기
제조업 작업조직 특성에 따른 현장관리자의 역할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37권 / 4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이정현

    초록

    린생산방식의 확산, 조직 위계의 축소와 일선관리자에 대한 권한위임의 증가 등으로 기업 현장관리자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짐에도 불구하고, 현장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국내연구는 빈약한상황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조업에서의 현장관리자의 역할이 작업조직 특성의 차이에 따라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장관리자의 역할은 20개 역할 각각에 대한 현장관리자의 인식된 중요도로 측정되었으며, ʻ작업계획/배분ʼ, ʻ장비수령/관리ʼ, ʻ작업진행/질서유지ʼ, ʻ직접작업ʼ의 네 가지 역할요인으로 집약되었다. 작업조직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크게 3가지, 즉 비체계적 작업조직, 테일러주의적 작업조직, 고성과형 작업조직(린 작업조직 및 자율형 유연 작업조직 포괄)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에서의 표본기업에 포함되는 100인 이상의 164개 제조업이다. 작업조직 특성은 기업 인사노무담당자에 대한 설문을 통해, 현장관리자 역할은 기업별로 3인의 현장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을 통해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비체계적인 작업조직에서의 현장관리자들은 테일러형이나 고성과형 현장관리자들에 비해 자신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경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역할의 경시는 실제 역할 수행 미흡과 작업단위 성과 저하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비체계적 작업조직 현장관리자의 역할 인식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뜻한다. 두 번째로, 테일러형작업조직에서의 현장관리자 역할보다 고성과형에서의 현장관리자 역할이 보다 클 것이라는 서구선행연구에서의 예측은 지지되지 않았다. 이는 현장관리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볼 때, 테일러형과고성과형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제조업에서의 고성과형의 차별성이 있는가에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러한 결과들은 작업조직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제도적인 측면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지만, 일선 종업원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장관리자들에 대한 연구가 보다 강화되어야 하며, 작업조직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검토가 수반되어야 함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number of domestic research on the role of frontline supervisor is not much, even though the role of frontline supervisors in Korea are getting important due to the diffusion of lean production, shortened organizational hierarchy and increase in empowerment to supervisors.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s in perceived role of supervisors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organizations or production methods. The perceived role of supervisors are measured by 20 items and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work schedule/allocation’, ‘equipment receipt/management’, ‘work progress/monotoring’, and ‘working on the line.’ Work organizations in this study are assumed to be one of the three types of work organizations, Tayloristic, non-systematic, and high-performance work organizations. The samples in this study are 492 supervisors from 164 establishments hiring at least 100 employees. The data regarding features of work organizations are collected from HRM/IR managers and the data regarding the perceived role importance are from supervisors(3 supervisors per establishment).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pervisors in non-systematic work organizations look down on their roles, compared to supervisors in Tayloristic work organizations and in high-performance work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erceived role importance of supervisors in non-systematic work organizations in firm level in that the low level of perceived role importance may result in the low level of actual role by supervisors and the decline of performance in the work unit running by the supervisors.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le importance of supervisors in between Tayloristic work organizations and high-performance work organizations. This result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no actual difference in between Talyoristic production method and high-performance production method like lean production in Korea, in term of role in frontline supervisors.
    Overall, these results mean that further research focusing on frontline supervisor who heavily affect frontline workers is need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rganizations and supervisors' role should be examined in future empirical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