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랜드 공간 디자인의 업사이클링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pcycling Marketing Strategy of the Brand Space Desig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5.10
12P 미리보기
브랜드 공간 디자인의 업사이클링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0권 / 5호 / 177 ~ 188페이지
    · 저자명 : 유현주, 이정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지속가능성을 통한 많은 기업들이 업사이클링을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여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는 기업이 브랜드 공간에서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이루는 동시에 감성적으로 다가감으로써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치상승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도 활용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별 업사이클링 브랜드 공간의 디자인 전략현황 및 특성을 도출하고 기업과 소비자들의 접점인 브랜드 공간을 형태 및 기능별로 유형화하여 기업의 브랜드 공간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연구방법)이를 위해 브랜드 공간과 업사이클링 마케팅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여 분석모형도를 구조화 하였다. 그 다음 국내기업 6곳의 사례를 선정하여 현장답사와 문헌조사 및 웹정보를 통해 브랜드 공간 내 적용된 업사이클링 마케팅 전략을 분석한다. 조사내용은 기업의 업사이클링 마케팅 전략의 유형 및 디자인특성과 브랜드공간의 유형 및 브랜드공간의 가치와 브랜드의 이미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험적 모듈 SEMs의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모형도에 적용한다.(결과)분석결과, 기업들의 활용도가 높은 전략으로는 협력을 통한 디자인·기술개발, 참여적 소비자의식 개선, 사회 환원 등의 전략으로 나타났다. 기업전략을 통해 나타난 디자인특성으로는 고부가가치성과 창의성이 강한 특성을 보였다. 이는 앞서 언급한 활용도가 높은 기업전략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브랜드 공간의 유형에 따른 체험모듈은 감성적 체험과 관계적 체험이 높이 평가 되었다. 이는 업사이클링 마케팅의 활용이 소비자에게 깊은 유대감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브랜드 공간 유형에 따라 소비 공간인 플래그쉽 스토어와 스토어/매장에서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감성적 체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 혜택공간인 홍보관에서는 브랜드의 인지도를 위한 행동적 체험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브랜드 공간에 업사이클링을 활용함으로써 브랜드와의 유대감을 형성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결론)감성적인 요소를 기반한 업사이클링마케팅 전략을 브랜드 공간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고 그로인해 기업들의 환경적 인식이 소비자에게 유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로써 업사이클링은 브랜드 공간에서 기업이 말하고자 하는 가치를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적절한 마케팅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공간을 브랜드화 시킬 수 있는 마케팅전략으로 높이 평가된다. 그러므로 업사이클링 마케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환경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들의 확산이 필요하고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연계와 함께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방법이 촉구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been using upcycling as a marketing tool to facilitate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customers and brands according to the emerging concept of sustainability. This trend shows that companies are using the upcycling marketing strategy as a sensitive design approach to promote better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and, at the same time, enhance brand imaging and value.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or designing corporate brand spaces; additionally, it includes an analysis of brand space based on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form and function, the contact points with custom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ies. (Method) After contempl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brand space and upcycling marketing, a structuralized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Next, six domestic companies were selected for analyzing upcycling marketing strategies applied in brand spaces through the use of a field survey, documentary, and Web search. Survey results were applied to the model after examining types of upcycling marketing strategies, design characteristics, brand space, and traits of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to maximize the value of brand space and brand image.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were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technology through collaboration, improvement of consciousness of participative consumers, social restoration, and so on. High value-added activity and creativity were other strong design features in corporate strategies and appear to be closely connected to the aforementioned marketing strategy. Sensitive and relational SEMs in accordance with type of brand space were also evaluated. The use of upcycling marketing is considered as the element that enables bonding with customers; at the same time, it plays the role of facilitator between a brand and customers. In flagship stores or shops that are spaces for consumption, a sensitive experience that satisfies the desires of customer commonly occurred. In promotion halls (i.e., customer benefit spaces), behavioral experiences demonstrating brand recognition commonly occurred. By utilizing upcycling in brand spaces, a sense of bonding with various brands was form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clusions) After applying an upcycling marketing strategy using a sensitive approach toward customer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bonding with customers from a company's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issues. Thus, upcycling in brand spaces is suitable for marketing and effectively representing a company’s values. Therefore, to activate upcycling in marketing, expansion of socially responsible companies that pursue eco-friendliness is required. At the same time, in conjunction with establishing a network with consumers, focusing on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marketing methods is recomme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