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행 시 헤드업 디스플레이 선호영역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he Preferred Areas of Head-Up Display (HUD) while Driving)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8.12
16P 미리보기
주행 시 헤드업 디스플레이 선호영역 분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인간공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인간공학회지 / 37권 / 6호 / 651 ~ 666페이지
    · 저자명 : 박기범, 반기민, 정의승, 임영재

    초록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assification of the areas in the Driver's windshield that will enhance your intuitive understanding.
    Background: Self-driving vehicles are emerging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advances, and the range of human behavior is expanding. The collateral information on driving is increasing, and HUD is coupled with an augmented reality to convey information to the driver. Interference between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isplayed information can cause distraction. Research is required to find out that which areas in driver's WS are optimum, preferred and restricted to be displayed when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Proceeding a test for 9 areas, which is carried out as a classification and grouping of the relevant factors in existing HUD researches, on driver's side WS. The number of 18 participants have been acted LCT with driving simulator, and being measured by completion time and MCH handling quality.
    Results: In the intuitive perspective the vertically middle areas were the dominant positions all the time. Also the traffic congestion and participant's state had affected on the interaction to areas.
    Conclusion: There are many legal regulations locating the HUD area to the middle on the WS, so this study proposed a secondary solution suggest and designated the worst area on considering LOA. For preparing new era of autonomous car industry, this study proposes the initial classification of the HUD location on driving.
    Application: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eing the basis of the study that founds the groups of the optimum, preferred, restricted HUD areas for the near future with Autonomous Driving.

    영어초록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assification of the areas in the Driver's windshield that will enhance your intuitive understanding.
    Background: Self-driving vehicles are emerging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advances, and the range of human behavior is expanding. The collateral information on driving is increasing, and HUD is coupled with an augmented reality to convey information to the driver. Interference between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isplayed information can cause distraction. Research is required to find out that which areas in driver's WS are optimum, preferred and restricted to be displayed when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Proceeding a test for 9 areas, which is carried out as a classification and grouping of the relevant factors in existing HUD researches, on driver's side WS. The number of 18 participants have been acted LCT with driving simulator, and being measured by completion time and MCH handling quality.
    Results: In the intuitive perspective the vertically middle areas were the dominant positions all the time. Also the traffic congestion and participant's state had affected on the interaction to areas.
    Conclusion: There are many legal regulations locating the HUD area to the middle on the WS, so this study proposed a secondary solution suggest and designated the worst area on considering LOA. For preparing new era of autonomous car industry, this study proposes the initial classification of the HUD location on driving.
    Application: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eing the basis of the study that founds the groups of the optimum, preferred, restricted HUD areas for the near future with Autonomous Dri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인간공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