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아동문학가 엄필진과 『朝鮮童謠集』 연구 (A Study of Eom Pil-jin and 『Joseon Dongyoj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아동문학가 엄필진과 『朝鮮童謠集』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글 / 83권 / 297 ~ 323페이지
    · 저자명 : 김종헌

    초록

    엄필진은 1923~30년대에 경북 김천과 선산 고아지역에서 보통학교에 근무하면서 동화를 발표하고 우리나라 최초로 전래동요를 수집하여 『조선동요집』을 발행한 아동문학가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의 생애와 아동문예 활동 등이 제대로 연구되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당시 일간지 등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해서 엄필진이 충북 황간 출신이며 1894년 출생하여 1951년을 끝으로 삶을 마감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 ≪동아일보≫의 기사에서 그가 대구농업학교를 졸업한 사실을 밝혔다.
    엄필진은 김천지역 소년회의 활동에 부분적으로 참여하였고 동화를 창작하는 등 소년문예운동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경북 선산 고아공립보통학교 교장으로 있을 때는 학예회 개최, 어린이 애호주간 선포 등을 통해서 아동과 아동문예에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실천하였다. 즉 그는 1918년 김천 훈도시절부터 1933년 고아공립보통학교 교장시절까지 동화 창작과 함께 동화회나 전람회 등을 지원하거나 직접 개최하였고 아동애호에 대한 강연 및 홍보에 적극적이었다. 다른 소년운동가와 달리 소년회나 소년문예단체 등에 소속되어 운동가로서의 면모는 찾을 수 없지만 그는 김천과 선산지역에서 훈도 자격으로 어린이들과 직접 소통하면서 소년운동 또는 소년문예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런 가운데 그가 발행한 『조선동요집』은 스스로 밝혔듯이 ‘조선의 동요를 연구함에는 차종의 서적이 일책도 출현치’ 아니하던 때에 나온 책으로써 동요연구 자료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 어린이독자가 ‘單獨으로’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조선어와 한자어를 병행하여 독자에게 다가선 점도 의미가 크다. 하지만 牛耳洞人의 지적처럼 이 책은 민요와 동요를 구별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한편 그가 소년회나 소년문예 단체를 이끌면서 소년문예운동을 대중적으로 확산시키지 못한 것은 한계로 남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reveal Eom Pil-jin's(엄필진) activities i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bibliographical features of his publication(Joseon Dongyojip, 『조선동요집』). At that time various sources like a daily newspaper confirmed that Eom Pil-jin was from Hwanggan(황간), and was born in 1894 and ended his life in 1951. Also in an article in the Dong-A Ilbo(동아일보), the newspaper revealed that he graduated from Daegu Agriculture School(대구농림학교). And he was interested in the boy's literary movement,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Boys' Association in Gimcheon(김천소년회) and creating fairy tales.
    In particular, when he was the principal of the Go-a Public Primary School(고아공립보통학교) in Seonsan, he expressed a lot of interest in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by holding an academic arts meeting and declaring a week of love for children. In other words, he was a teacher from 1918 to 1933 the principal of the Go-a public school. This time, he supported or held exhibitions on his own as well as writing fairy tales, and was active in lecturing and promoting children's love.
    Unlike other boy's activists, he belongs to the boy's society or the boy's literary organization, so we can't find his appearance as an activist. However, he participated in the boy's literary movement by communicating directly with children in the area of Gimcheon and Seonsan as a teather.
    Under these circumstances, 『Joseon Dongyojip』 published by him for the first time to study a children's song(poetry).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book was written in bo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o approach readers directly. So, children could and understand it on their ow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not distinguishing between folk song(민요) and children's song(poetry), as Uidongin(牛耳洞人) pointed 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