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판의 미로>에 나타난 역사적 트라우마의 시각적 재현 양상- 할 포스터의 ‘언캐니’와 융의 ‘원형’ 이론을 중심으로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Trauma in Pan’s Labyrinth - Focusing on Hal Foster’s ‘Uncanny’ and Jung’s ‘Archetype’ Theor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5.02
16P 미리보기
영화 &lt;판의 미로&gt;에 나타난 역사적 트라우마의 시각적 재현 양상- 할 포스터의 ‘언캐니’와 융의 ‘원형’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23권 / 1호 / 143 ~ 158페이지
    · 저자명 : 서정화, 이현석

    초록

    본 연구는 길예르모 델 토로(Guillermo del Toro)의 영화 <판의 미로(Pan's Labyrinth, 2006)>를 중심으로, 스페인 내전이라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시각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심리적 치유와 자기실현의 과정으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해 탐구한다. 영화는 현실과 초현실의 경계를 허물며, 억압된 기억과 집단적 트라우마를 관객에게 ‘언캐니’(Uncanny)의 방식으로 환기시킨다. 본 연구는 융(Carl G. Jung)의 집단적 무의식과 원형(Archetype)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속 상징적 이미지와 서사를 분석하며, 초현실주의적 미학이 전쟁 트라우마의 표현과 치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한다. 연구는 세 가지 주요 질문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첫째, 초현실적 장치와 상징은 영화 속에서 억압과 폭력을 어떻게 시각화하는가? 둘째, 주인공 오필리아의 환상적 여정은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심리적 치유를 어떻게 형상화하는가? 셋째, 영화의 결말은 어떻게 트라우마의 극복과 자기실현으로 해석될 수 있는가? 이를 위한 본 연구는 델 토로의 고딕적 미학과 초현실주의적 연출, 그리고 할 포스터(Hal Foster)의 ‘언캐니’ 개념을 활용하여 영화 속 주요 장면과 상징을 분석한다. 특히 미궁(labyrinth), 판(Pan), 페일맨(Pale Man)과 같은 상징적 장치는 융의 원형 이론에서 말하는 어머니, 그림자, 영웅 등의 원형을 통해 트라우마와 억압된 기억의 시각화를 돕는다. 본 연구는 판의 미로가 초현실적 미학을 통해 집단적 트라우마를 치유와 자기실현의 가능성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조명하며, 이러한 영화적 접근이 현대 사회에서 트라우마와 폭력의 서사적 재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영어초록

    War and violence not only devastate individual lives but also leave profound scars on collective memory and culture. Guillermo del Toro’s Pan's Labyrinth(El laberinto del fauno, 2006) offers a poignant cinematic exploration of these themes, employing surrealist aesthetics and rich symbolic imagery to reimagine the traumatic legacy of the Spanish Civil War. This study examines how del Toro visually reconstructs historical trauma by integrating Carl G. Jung’s theory of archetypes and collective unconscious with Hal Foster’s reinterpretation of the uncanny. Through this lens, the research explores how trauma is confronted, processed, and reframed as a journey toward psychological healing and integration. Focusing on the protagonist Ofelia’s psychological journey, this paper analyzes how key fantastical elements—such as the labyrinth, the faun, and the Pale Man—function as archetypal symbols representing her internal struggles and her interaction with the oppressive realities of Francoist Spain. The study situates Pan's Labyrinth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surrealist cinema, examining how the film employs uncanny imagery to evoke unease and fascination, immersing the audience in a complex engagement with historical trauma. By bridging Jung’s concepts of individuation and collective unconscious with del Toro’s cinematic language, this research reveals how the film transcends historical representation to propose a path toward psychological reconciliation and self-realizat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n trauma, memory, and visual storytelling, offering new insights into how fantastical narratives can serve as powerful vehicles for addressing collective and individual wounds. By transforming historical atrocities into a space for reflection and empathy, Pan's Labyrinth demonstrates the unique capacity of cinema to inspire both psychological introspection and the possibility of renew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영상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