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평등은 언제부터 발생하는가 : 초기 아동기 인지능력 발달에서 나타나는 가족배경 격차 추세 (When Does Inequality Emerge in Early Years of Life? Family Socioeconomic Status Inequality in Cognitive Skills during the First 10 Years of Life among South Korea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2.05
44P 미리보기
불평등은 언제부터 발생하는가 : 초기 아동기 인지능력 발달에서 나타나는 가족배경 격차 추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6권 / 2호 / 1 ~ 44페이지
    · 저자명 : 임영신, 최성수

    초록

    교육 불평등 연구의 최근 중심 화두는 본격적으로 학교 교육이 시작되기 이전 초기 아동기의 중요성이다. 국제적인 연구 축적 흐름과 비교해 한국에서의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수준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인지능력에 있어 가족배경에 따른 격차가 생애 어느 시점부터 발생하는지, 취학 전 교·보육 기관과 학교는 이렇게 드러나는 격차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봤다. 2008년에 출생한 아동을 표집하여 출생 순간부터 10세(초등학교 4학년)까지 추적하고 있는 전국 대표성 있는 패널 데이터인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해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크게 다섯 가지 주요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첫째, 가족배경에 따른 인지능력 격차는 3세 이전에 발생한다. 둘째, 취학 이전 3~7세 기간 동안 인지능력의 가족배경에 따른 격차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 셋째, 아동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간 이후에는 불평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근거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는다. 넷째, 초기 아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가족배경 격차가 존재하더라도 가족배경을 포함하여 관측할 수 있는 특성이 설명하는 인지능력의 변이는 20퍼센트 정도에 불과하다. 다섯째, 3~7세 기간에 발생하고 증가하는 가족배경 격차를 설명하는데 있어 이 기간에 아동이 다닌 교·보육 기관의 역할은 제한적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에서도 취학 전 가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아동기 불평등이 교육 불평등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동시에 불평등이 생애 초기에 고착된다는 결정론적 해석은 적절치 않다는 점도 함께 시사한다.

    영어초록

    Researchers studying educational inequality agree that early childhood is a critical stage of human life. Despite growing research evidence of contexts in Western countries, this issue has garnered relatively little scholarly and policy-related attention in Korea. In this study, we examine when and how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SES) inequality in cognitive skills emerges in early childhood in Korea, along with the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institutions and elementary schools in generating the inequality. The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born in 2008. We fit growth curve models to predict cognitive skill scores of a child from the ages of 0 to 10. Our analyses reveal five key findings. (1) The cognitive skill gap by family SES emerges earlier than age 3. At the age of 3, the magnitude of the gap is already significant. (2) Between the ages 3 and 7, the family SES gap in cognitive ability increases significantly. (3) While a substantial gap exists, it does not widen significantly after children enter elementary school. (4) Observed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family SES, account for only about 20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of cognitive scores. (5) The type of ECEC a child attends play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limited role in explaining family SES inequality in the growth rate of cognitive ability from ages 3 to 7. We discuss social and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