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랍어 연구에 대한 현대적 접근 (Modern Approaches to the Study of Arabic)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4.02
20P 미리보기
아랍어 연구에 대한 현대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동연구 / 32권 / 3호 / 209 ~ 228페이지
    · 저자명 : 최진영

    초록

    지금까지 논의한 바와 같이 20세기 중반 이후 서구학자들의 아랍어 연구는 표준어와 방언간의 관계 및 방언 연구를 통한 통시적 연구 등으로집약할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경향은 아랍학자들의 공시적 방법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다. 실제로 아랍어 연구에서 서구학자들의 방법과아랍학자들의 방법은 서로 고립된 상태에서 존재해왔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자는 아랍어에 대한 균형적인 연구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의수용을 제안하며, 또한 이를 위한 국내의 연구 주제 및 앞으로 수행해야할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자힐리야 시대의 언어적 상황 즉, 원시 아랍어와 초기 아랍어 비문(사무드어, 나바트어, 리흐얀어, 사파어 등)등에 관한 국내의 연구가미비하다는 점에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비문들의 철자법 및아라비아 반도의 언어적 상황에 관한 선행연구로 디엠Diem(1979-1981)의 논문을 참고할 수 있으나 원문이 독일어로 되어 있는 것이 단점이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의 학자들이 서구 학자들과 공동으로 초기 아랍어와 그 서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결과가주목된다.
    둘째, 이슬람 이전 방언연구와 관련해서는 라빈Rabin(1951)의 저서‘Ancient West Arabian’ 과 알-준디al-Gundi(1965)의 ‘al-Lahjātal-ʕarabiyyah’ 가 방언들의 광범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제 1자료로 분류된다. 현대 아랍어 방언에 대한 자료로는 아랍방언학회Arabic Dialectology Association 가 2000년에 출간한 ‘Aspects ofModern Arabic Dialects’ 를 활용할 수 있다.
    현대 방언들에 관한 연구는 아랍어 발전과정을 탐구할 수 있는 최상의방법 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현대 아랍어 방언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표준어와 구어체 간의 사회언어학적 연구와 각국의 방언에 대한 분석 연구로 집약된다. 특히, 한국연구재단 프로젝트로 이루어진 아랍 각국의 방언연구는 국내의 방언연구를 발전시켰던 디딤돌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우리에게 보다 더 필요한 것은 방언학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과 함께 보다더 많은 방언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후자와 관련해 현재우리는 이집트 지역의 방언 지도(Behnstedt & Woidich 1985), 예멘 지역의 방언 지도(Behnstedt 1985)를 활용할 수 있다. 그 외에 팔레스타인과 시리아(Bergstrasser 1915), 호란 주변 지역의 방언 지도(Cantineau1940, 1946)를 참고할 수 있다. 특히 마그립 지역에 관한 방언지도 및사회언어학적 연구가 특별히 요구되는데 그 이유는 이 지역이 국내 방언연구에서 소외되어 왔고 복잡한 언어상황과 다양한 방언혼재 현상이 맞물려 있는 특수성을 갖고 있어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셋째, 중간 아랍어 분야, 특히 유대교와 기독교인의 중간 아랍어에 대해서는 블라우Blau(1965, 1966-67)의 연구가 독보적이다. 우리가 주목해야할 부분은 아랍인의 중간아랍어인데 이러한 자료들을 아라비안나이트 전집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무흐신 마흐디Muḥsin Mahdi(1984)의 아라비안나이트의 새 편집본은 19세기 구전으로 전수되어진 아랍어 형태의초기 필사본을 수집하고 편집한 것으로 당시 아랍부족들의 중간아랍어의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무흐신의 편집본은 아랍인의 중간아랍어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문학 전공자들과 함께 무흐신 편집본의 아랍어 자료의 분석을 통해 아랍인들의 중간아랍어를 소개하는 연구가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른 바 ‘방언의 섬dialect islands’이라 불리는 지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즈베키스탄, 남수단, 아프가니스칸, 터키, 말타 등이 이른바 ‘방언의 섬’이라 불리는 지역으로 현재 아랍어가 구어로 쓰이고 있지만 표준어와는 어떠한 접촉을 하지 않은 지역이다. 이 지역의 방언들의 구조는 아랍 지역의 방언들과 상당히 다르다. 이 지역들이 초기서부터 아랍 지역과의 접촉이 적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지역 방언의 연구는 표준어가 구어에 영향을 미치기 이전 시기의 방언들의 구조에 대한중요한 사항들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초록

    We have largely two methods to study the language. They aresynchronic and diachronic methods. Synchronic method is to studythe linguistic elements of the language at a specific time, whereasdiachronic method is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developments in thecourse of time. In general, two methods formulate the complementaryrelationship in that synchronic phenomena can not be describedwithout diachronic research and on the contrary, it is impossible toexplain diachronic phenomena without synchronic research.
    The basis for an explanation of most contemporary approaches toArabic language, both in Western and in Arab research, may be foundi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two methods. For the Arabgrammarians in the classical period, linguistics was the science thatexplained the formal aspect of speech, which they equated with theArabic language. Such an approach implies an entirely synchronicframework, with the exclusion of any diachronic dimensions. For thegrammarians there was no such thing as a history of Arabic, whosedevelopment in the course of time called for an explanation. Theyregarded their language as something homogeneous, both in space andtime. There was no development in Arabic since the grammariansknew only one, pure language which had been the language of theBedouin in the pre-Islamic period, the language of pre-Islamicpoetry, and before all the language of the Koran. This languagecontinued to be the model for all speakers of Arabic, and it wasassumed that in principle everybody used this language throughoutthe centuries.
    In contrast, western scholars studied Arabic in terms of diachronicmethod.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which appeared in the18th century since William Jones had discovered Sanskrit languag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diachronic approach to Arabic. Theyhave focused on the origin of Arabic dialects and its historicaldevelopments as well as the diglossia between written Arabic andspoken Arabic.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compare western and Arab scholars'research methodology of Arabiclanguage, and to suggest modern approaches to the study of Arabic.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