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양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부산 S대 교양일본어 학습자 니즈 분석을 중심으로-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General Japanese Cours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cusing on the Needs Analysis of General Japanese Learners at S University in Busan, Kore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3.05
20P 미리보기
교양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부산 S대 교양일본어 학습자 니즈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98호 / 27 ~ 46페이지
    · 저자명 : 김세련

    초록

    본 연구는 부산 S대 교양일본어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와 그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22학년도 2학기 교양일본어 SJP 강좌 전체 수강자204명, 응답자는 167명으로 81.9%의 응답률을 보였다.
    분석결과, 첫째, ‘리터러시’ 용어는 24.6%의 낮은 인지도를 보여, 용어 자체를 생소하고 다소 낯설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수강자에게 가장 친숙한 리터러시는 디지털리터러시(46%)와 미디어리터러시(26%)로 나타나, 디지털 사회에서는 디지털 역량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통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수업의 전체 영역에 적용된 비율은 33.8%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학습법’에서 37.7%의 가장 높은 적용률을 보이고 있으며, 문법과 회화수업에서의 적용단계의 상이점은 보이지 않고,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넷째, 디지털 도구의 활용도는 퀴즈게임(31.1%)과 내용설명(26.6%)에서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교육의 장애요인으로 인식부족(42.2%)과 교육환경의 미비(23.4%)를 지적하였다. 여섯째, SJP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여부에 따른 만족도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정 결과, 문법수업의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 평균 4.57(SD=.76), 미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평균 4.10(SD=1.22), 이러한 차이는 t=2.05, p<.0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함으로써 수강자의 교수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수업설계의 개선 방향으로 STCPR 방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학습자 맞춤형 프로젝트 교육과정 개편과 다양한 디지털 플렛폼 및 도구 활용을 부분교사에서 전체교수로 확대하여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을 제안한다.
    끝으로 본고의 설문결과가 향후 디지털 기반 수업의 대응 전략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교양교육에서의 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 사례연구가 계속 이어지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SJP course at Busan S University and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it, and examine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04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2 academic year in the general Japanese SJP course, and 167 respondents, for a response rate of 8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rm 'literacy' showed a low awareness of 24.6%, indicating that the term itself was unfamiliar. Second, the most familiar types of literacy among students were digital literacy (46%) and media literacy (26%), indicating that digital literacy, which is most relevant to digital competence in a digital society, has gain broad currency. digital literacy in all areas of the classroom to enhance digital competence was 33.8%, with the highest rate of 37.7%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application in grammar and conversation classes, showing almost the same pattern. Fourth, the utilization of digital tools was highest in quiz games (31.1%) and explanations (26.6%). Fifth, lack of awareness (42.2%) and inadequate educational environment (23.4%) were pointed out as obstacles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Sixth, a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ean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applying SJP digital literacy and not applying digital literacy in grammar classes, and the mean difference was 4.57 (SD=.76), and the mean difference was 4.10 (SD=1.22), which was significant at t=2.05, p<.05. Therefore, we can expect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by applying digital literacy in the future. In order to improve the design of digital literacy courses in SJP courses in the future, we suggest reorganizing the curriculum of learner-customized projects that introduce digital storytelling in the STCPR method and expanding the use of various digital platforms and tools from partial to full professors to utilize various edtech.
    Finally, we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response strategy for digital-based classes in the future, and we look forward to the continuation of practical case studies for enhancing Japanese digital literacy in liberal arts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