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矛盾語의 形態와 意味 (On the Form and Meaning of Korean Contronym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0.03
25P 미리보기
矛盾語의 形態와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8권 / 1호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오민석

    초록

    오민석, 2020, 모순어의 형태와 의미, 어문연구, 185 : 31~55 모순어는 하나의 언어 단위가 공시적으로 의미 대립성을 보이는 다의어다. 이 글에서는 모순어를 판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정리해 보았다. 우선 선행연구들의 목록을 정리하고 이 가운데 이질적인 항목을 추리는 과정을 통해 목록의 균질성을 도모했다. 모순어라는 언어 단위는 내부를 분석할 수 없음을 ‘전부-전무’, ‘밤낮’, ‘길흉’ 등을 통해 확인했다. 그리고 모순어의 판정은 형태가 아닌 의미에 집중해야 함도 ‘우연찮다’, ‘어쭙잖다’ 등을 통해 확인했다. ‘-잖/찮-’의 형태가 모순어의 의미 대립성을 파악하는 데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모순어를 판정할 때 모순어의 형성 기제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부정서술어와의 공기어가 보이는 의미 변화를 통해 의미의 전염 양상을 살펴보고 ‘빌리다’ 류 어휘들을 통해 동시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담화 차원에서 단발성 모순어의 존재를 ‘죽다’, ‘죽이다’, ‘잘하다’ 등을 통해서 확인했는데 한국어 모순어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보다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have looked at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at would be considered in defining what Korean contronymy is, internal-contrariness in a single linguistic unit, word, phrase, sentence.
    Looking at the list of preceding studies, we reconfirmed that contronymy is polysemy and through “jeon-bu(full)-jeon-mu(nothing)” and “bamnat(night-day)”, “gilhyug(good-ill luck)” the contronymy should not be internally analyzed for a single linguistic unit. It also confirmed that in order to define contronymy, each-opposite meanings in a single linguistic unit should be looked at through “uyeon-chanh-da(being accidental)” and “eojjup-janh-da(clumsy)”, and that the contradiction should be checked not in the form as ‘-잖/찮’ but in the meaning of words. We looked at the contagion from negative predicate and concurrency with “billida(rent)”–type words as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controymy.
    By confirming the existence of one-time contradictory words at the discourse level, such as “jugda(die)”, “jugida(kill)” and “jal-hada(do well)” which were not paid attention in preceding studie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Korean contronymy in fu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