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만주어 -rA와 몽골어 -QU의 유사성 (Similarity between Manchu -rA and Mongolian -QU in Manju i yargiyan kooli from an areal perspectiv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0.04
27P 미리보기
지역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만주어 -rA와 몽골어 -QU의 유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언어학 / 86호 / 3 ~ 29페이지
    · 저자명 : 박상철

    초록

    본고는 지역언어학의 관점에서 MYK에 나타나는 만주어 -rA와 몽골어 -QU의 구조적 유사성을 기술하였다. 이들은 각각 만주-퉁구스어족과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이지만, 오랜 접촉의 결과 언어 지역(linguistic area)을 이루게 되면서 공통된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선행 연구에서 이들은 직설법(indicative) 종결어미로 사용되어 ‘미래’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기술되었는데, MYK의 언어 사실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직설법 종결어미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즉, 만주어 -rA의 경우 다른 형태 없이 단독으로 종결형에 나타나는 경우 1인칭 주어만을 가지며 ‘약속’의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직설법 형태가 전형적으로 표현하는 ‘시제’ 의미보다는 화자의 태도와 관련된 ‘양태’ 의미에 가깝다. 이 때 몽골어 대역이 규칙적으로 몽골어의 자원형(voluntative) 어미 -sUГAi로 나타나는 것도 이러한 주장을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직설법에서 현재와 미래의 의미는 -rA에 비해서 후대에 발전한 것으로 보이는 정동사 어미 -mbi가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몽골어 -QU는 다른 형태와 함께 사용되어 의문, 부정, 의무 등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지만, 직설법 현재 또는 미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계사 bui를 반드시 후행해야 한다. 이는 MYK에서 ‘명사 + 계사’로 나타나는 몽골어의 명사문과 평행한 현상으로, 이 때 -QU가 종결어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비종결형(동명사)으로 사용되었다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mU, -lUGA, -bA 등 단독으로 종결어미로만 나타날 수 있는 형태와 동일한 지위를 부여할 수 없으며, 중세몽골어에서 -QU가 담당하던 직설법 미래의 기능은 원래 직설법 현재를 가리키던 -mU가 그 의미를 확장하여 담당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Manchu –rA and Mongolian –QU in Manju i yargiyan kooli (hereafter, MYK) on their distribution and meaning. It is likely that Manchu and Mongolian share common features due to their long history of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action, despite their genetic irrelevance.
    Many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that when Manchu –rA and Mongolian –QU are used as a finite verbal suffix, they refer to ‘future tense.’ However, the distribution and the meaning of the two forms in MYK suggest a different idea: (1) Manchu –rA cannot form an indicative sentence when it is used as a finite verbal suffix, referring only to first-person subject unless it occurs with other grammatical markers such as a negative suffix –akū, wh-words, or a prohibitive word ume to form a negative, an interrogative, or a prohibitive sentence, respectively; (2) Likewise, Mongolian –QU cannot occur in an indicative sentence as a finite verbal suffix, unless it precedes copula bui to form a nominal sentence. Thus, I conclude that at the period of MYK, Manchu –rA and Mongolian –QU did not function as an indicative verbal suffix referring to future tense.
    It is likely that the restricted distribution of Manchu –rA and Mongolian –QU is a result of diachronic development of –mbi and –mU, respectively. In other Tungusic languages where forms like –mbi have not developed, the cognates of –rA still occur in indicative sentences with no person-restriction. In Middle Mongol where forms in –mU refer to present tense, forms in -QU occur as the exclusive future tense in indicative sent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