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어의 시간상황어 차별표시 현상에 대하여 (Zur differenziellen Markierung von Zeitadverbialen im Deutsche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독일어의 시간상황어 차별표시 현상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어문학 / 29권 / 4호 / 95 ~ 117페이지
    · 저자명 : 신용민

    초록

    독일어의 시간상황어 표시는 크게 어휘적 수단과 형태-통사론적 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형태-통사론적 시간상황어 표시는 조어적 수단(예, montags, wöchentlich), 격표시(예, eines Abends, jede Woche) 그리고 전치사표시(예, am Abend) 세 가지로 구분된다. 격표시는 더 나아가 2격과 4격 표시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이들 중에서 격표시와 접사첨가의 조어적 수단을 통한 시간상황어 표시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들의 상이한 형태와 기능적 분포를 시간상황어 차별표시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독일어의 이러한 다양한 시간상황어 표시 수단이 목적어차별표시(DOM) 현상과 비슷한 맥락에서 다룰 수 있는지, 그렇다면 어떠한 기능적 동기가 다양한 시간상황어 표현에 작용하고 있는지, 그것이 얼마나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현상으로 파악될 수 있는지 상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격과 4격 그리고 접사첨가 형태의 시간상황어가 사태의 시점, 지속시간, 반복시간의 표현과 관련하여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독일어가 시간상황어 차별표시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는 본 연구의 핵심 근거는, 첫째, 어떤 사태의 시점 Zeitpunkt, 지속시간 Dauer 그리고 반복시간 Wiederholung 표현이 모두 가능한 4격표시 방법이 있고, 둘째, 2격표시 방법의 주된 기능은 사태의 불특정한 시점을 표현하는 것이며, 셋째, 접사첨가 방법의 주된 기능은 사태의 반복시간 표현에 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Im Deutschen lassen sich die Zeitadverbiale einerseits lexikalisch und andererseits morpho-syntaktisch markieren. Die morpho-syntaktische Markierung von Zeitadverbialen kann man in drei Strategien einteilen, nämlich in Suffigierung (z. B. montags, wöchentlich), Kasusmarkierung (z. B. eines Abends, jeden Tag) und in adpositionale Markierung (z. B. am Abend, in einer Nacht). Die Kasusmarkierungen werden weiterhin in genitiv- und akkusativmarkierte Adverbiale unterteilt.
    Die vorliegende Arbeit konzentriert sich vorrangig auf die Strategien von Suffigierung und Kasusmarkierung, und untersucht ihre unterschiedlichen Formen und funktionalen Verteilungen, und zwar im Hinblick auf die differenzielle Markierung von Zeitadverbialen. Sie werden also ähnlich wie DOM-Phänomene behandelt. Dabei wird herausgearbeitet, welche funktionalen Motive bzw. Bedingungen auf die verschiedenen Ausdrucksweisen von Zeitadverbialen wirken, und ob deren formale und funktionale Distributionen regelmäßig und systematisch identifiziert werden können. Konkret zeigt sich, dass im Deutschen genitivmarkierte, akkusativmarkierte und derivative Zeitadverbiale beim Ausdruck von Zeitpunkt, Dauer und Wiederholung eines Sachverhaltes unterschiedlich gebraucht werden.
    Vergleicht man die formale und funktionale Distribution von Zeitadverbialen, stellt sich etwa Folgendes heraus: i) akkusativische Strategie, die sowohl den Zeitpunkt als auch die Dauer und Wiederholung eines Sachverhaltes ausdrücken kann, ii) genitivische Strategie, deren Hauptfunktion im Ausdruck eines unbestimmten Zeitpunkts eines Sachverhaltes besteht, und iii) derivative Strategie, deren Hauptfunktion der Ausdruck des Wiederholungszeitraums eines Sachverhaltes ist.
    Dies dient als zentrale Grundlage für diese Studie, die argumentiert, dass Deutsch die ‘differenzielle Markierung von Zeitadverbialen’ aufwe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