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Pleonastic Expressions between Korean and Romani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0.10
26P 미리보기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 / 25권 / 77 ~ 102페이지
    · 저자명 : 엄태현

    초록

    본고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 의미의 중복적인 표현 현상을 한국어와 루마니아어를 대상으로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이글에서는 먼저 의미의 중복 표현 양상을 지칭하는 중어법, 동어반복, 잉여성 등과 같은 용어들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그 사용 예들을 살펴보았다. 이후 중복표현을 형태적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의미적 잉여성을 내포한 표현들은 언어적 오용인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사용 빈도가 높은 일부 중복 표현은 표준어로 사전에 등재되어있으며, 등재어는 아니더라도 관용적으로 허용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일부 표현은 자주 사용되더라도 허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개별 표현이 가지고 있는 사용 정도의 “일반성”의 문제, 화자의 표현 의지에서 나타나는 “명확성”의 문제, 언어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일관성”의 문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세 가지 특성의 접점에서 규범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루마니아어 사이에서 나타나는 중복 표현을 형태적으로 분류한 이후 이를 의미와 어원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보았을 때, 여러 유사점들과 차이점들을 볼 수 있었다.
    형태적인 면에서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중복표현은 대부분 [동사+부사구], [동사+목적어], [명사+형용사], [명사+명사]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물론 두 언어가 가지고 있는 형태-통사적 구조의 차이와 어휘론적 차이에 의해서 완전히 동일한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 비록 중복 표현은 대부분 언어적 오용으로 받아들여지지만, 두 언어 모두에서 그것이 형태-통사적, 어휘론적 원칙 내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어원적인 면에서 볼 때 한국어에서의 중복표현은 한자어가 포함된 경우에 흔히 나타나며, 루마니아어에서는 그리스어 혹은 라틴어 어원의 유사접두사(pseudoprefix)나 혹은 학술적 접두사(prefix ştiinţific)가 근대기의 로망스어(주로 프랑스어)를 통해서 재도입되어 사용될 때 중복 표현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영어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언어의 세계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한국어와 루마니아어 모두에 있어서 향후 영어 단어를 중심으로 한 중복표현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comparative studies on pleonastic expressions between Korean and Romanian which could be exist not only in these two languages, but also in majority of national languages. To make a research on this widely spread and multilateral linguistic phenomenon, I tried to make clear many terminologies designating the pleonastic aspects of expressions like pleonasm, tautology, reduplication, redundancy etc. And then I classified morphologically these expressions and compared characteristics of pleonastic expressions from the semantic and etymological view points between two languages.
    Expressions with redundancy usually recognised as a linguistically wrong use. But some of redundant expressions are registrated in the dictionary as a part of standard language, and even if not recognised as a standard language, there exist a tendency of toleration for some pleonastic expressions. This phenomenon is a multilateral problem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Generality” in language use, the problem of “Clearity” from the speakers volition, and the problem of “Consistenct” from the view point of language policy, so the linguistics norms concerned with pleonastic expressions should be stabilized by these facts.
    In many cases pleonastic expressions were found in case of containing difficult meanings, unfamiliar words in a lexical item. Fora difficult word, redundant element which is considered more easy than the respective word is added on purpose or simply a redundant element is added because speakers are not aware of the difficult word meanings.
    In this article pleonastic expressions are classifies morphologically and then compared semantically and etymologically. There exist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Firstly, from the morphological aspect, pleonastic expressions could be classified as structures of [verb+adverb], [verb+adjective], [noun+adjective], [noun+noun]. Because of morpho-synthetic and lexic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y couldn't shape perfect similarities. Even though pleonastic expressions are usually treated as a wrong use, the expressions are following the morpho-synthetic and lexicological rules when they are formulated. From the etymological view points, as a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pleonastic expressions are usually made when these are containing the Sino-Korean word. Similarly pleonasm of Romanian language are made when they are containing terms designating scientific and multilateral terminologies, which are usually containing scientific prefixes or pseudo-prefixes with Latin or Greek origines which came again into Romanian from the time of Modernity especially from French language.
    In these days judging from globalization ofd a language which mainly proceeded by English, and the speed of language diffus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made the pleonastic expressions containing English w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