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북 방언 친족어 연구 -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inship use of the Pyeong-Buk Province, North Korea - Focusing on Choshan Dialect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4.06
29P 미리보기
평북 방언 친족어 연구 -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언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언학 / 19호 / 137 ~ 165페이지
    · 저자명 : 이금화

    초록

    본고에서는 평북 초산 지역어의 친족어 중에서 화자가 남자일 경우의 친족어만을 논의한 것으로 부계 친족원, 모계 친족원, 처계 친족원으로 나누어 그 호칭어와 지칭어를 각각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지역어의 친족명칭 중에 호칭은 우선 화자보다 손위인 친족원에게 사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지역어의 친족원의 호칭어와 지칭어는 ‘접두 요소 + 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부계 친족원의 3대 위인 경우에는 ‘노/징조+클아바지’, 4대 위인 경우에는 ‘고조+클아바지’로 사용된다. 여기서 ‘노/징조’와 ‘고조’가 접두요소에 해당한다. ‘클아바지’의 남자 형제와 그 배우자인 ‘클마니’는 일반적으로 앞에 ‘큰-, 둘채-, 시채-, 작은-’과 같은 접두요소를 붙여 순서를 식별하고 하는데 여기에서는 화자 ‘클아버지’의 형이냐 동생이냐에 관계없이 나이 순서대로 한다. 화자 2대 위는 접두요소로는 ‘클-’과 어기 ‘아바지’로 구성되어 ‘클+아바지’로 사용되고 화자 1대 위는 접두요소로는 ‘맏/큰-’과 어기 ‘아바지’로 구성되어 ‘맏/큰+아바지’로 사용된다. 모계 친족원의 화자의 2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클아바지’가 사용되어 ‘왜+클아바지’로 되며, 화자의 1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삼춘’이 사용되어 ‘왜+삼춘’으로 된다. 처계 친족원의 화자의 2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가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클아바지’가 사용되어 ‘가시+클아바지’로 되고, 화자의 1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가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아바지’가 사용되어 ‘가시+아바지’로 되며, 화자와 같은 세대에는 접두요소로 ‘처-’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헝/제’가 사용되어 ‘처+헝/제’로 된다.
    다음으로 항렬이 같은 세대일 경우에는 동생의 배우자만이 호칭을 가지고 그 외의 친족원은 ‘이름+아/야’로 호칭을 하다가 결혼하고 자녀가 있으면 모두 ‘X아바지’나 ‘X오마니’로 호칭을 바꾼다.
    이 지역의 친족명칭은 모두 고유어 명칭과 한자어 명칭으로 구성되는데 부계 친족원이나 처계 친족원에서는 고유어 명칭이 훨씬 많고 모계 친족원에서는 이와 달리 한자어 명칭이 더 많다. 또한 친족 중에서 가장 소원한 위치에 있는 처계의 친족원에 대해 부계나 모계의 친족원보다 상대적으로 더 격식을 차리고 혼인에 의해 외부에서 들어온 친족에 대해서도 더 격식을 차려 직접 이름을 부르는 경우가 없다. 예를 들어 ‘동생’은 ‘이름+아/야’로 호칭, 지칭하지만 ‘동생’의 배우자는 지칭일 때는 ‘데수’라고 하고 호칭일 때는 꼭 ‘님’을 붙여 ‘데수님’이라고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the kinship of Pyeonganbuk-do, North Korea, when speaker is a man of father’s side. The study divides the kinship into father’s side, mother’s side and wife family’s side, and then examines the designated language and the appellative language.
    Appellatives of kinship in this dialect are used in the family when speaker is a younger one. Generally, designations and appellatives of this dialect are composed of ‘prefix+root’. ‘no/jingjo+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hree generations above in father’s side while ‘kojo+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four generations above. ‘no/jingjo-’ and ‘kojo-’ are prefix. ‘keulmani’ is the wife of one’s bother who is called as ‘keulabaji’. Prefixes as ‘keun-, tulchae-, sichae-, jageun-’ which express the order are attached to ‘keyumani’, and it’s used just accroding to age. Prefix ‘keul-’ is attached to base ‘abaji’ which expresses two generations before speaker while ‘nat/keun+abaji’ is used for whome is one generation above speaker. Prefix ‘wae-’ attached to root ‘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wo generations above speaker in mother’s side while ‘wae+samchun’ is used for whom is one generation above speaker. Prefix ‘kasi-’ attached to base ‘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wo generations above speaker in wife family’s side while ‘kasi+abaji’ is used for whom is one generation above ‘kasi+abaji’. ‘cheo+heong/je’ is for whom is the same generation as speaker.
    In the same generation, only the wife of one’s borther has an appellative, others is called as ‘name+a/ja’and this will be changed into ‘Xfather’ or ‘Xmother’ after they marry and have a child.
    Appellatives of kinship in this dialect are composed of native words and Sino-Korean words. In father’s side or wife family’s side, natives words are used a lot while Sino-Korean words are substantialy used in mother’s side. Relatively more formal appellatives are used for wife family’s side which keeps the most distant relationship. It is same for people who enter family through marriage. For example, a bother is called as ‘name+a/ja’, but when the wife of one’s bother is called as ‘desu’ and suffix ‘nim’ must be attached to ‘des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