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지용의 산문시 형성 과정에 관한 고찰-「슬픈 偶像」과 「愁誰語 4」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Forming Process of Jung Jiyong's Prose Poetry −Focused on 「Sad Idol」 and 「Susuye(愁誰語) 4」)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3.08
18P 미리보기
정지용의 산문시 형성 과정에 관한 고찰-「슬픈 偶像」과 「愁誰語 4」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55권 / 55호 / 81 ~ 98페이지
    · 저자명 : 배호남

    초록

    정지용의 시적 변모 과정은 초기 민요풍의 시나 동시, 경도 유학 이후 영미 주지주의를 받아들인 모더니즘 시, 귀국 후 발표한 종교시, 그리고 시집 『백록담』에 실린 산수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백록담』에 실린 산수시를 시형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운문시와 산문시로 극명하게 나뉜다. 정지용의 산문시에는 시적 화자의 심정적 갈등이 운문시보다 더욱 첨예하게 노출된다. 그런데『백록담』4부를 살펴보면 「슬픈 偶像」이라는 특이한 시가 있다. 이 시는 전체 30연 43행으로 이루어진, 정지용 시에서 가장 긴 시이다. 형식상 이 시는 행과 연을 구분하는 운문시의 형식을 지니고 있지만, 그 분량과 내용면에서 보자면 산문시에 훨씬 더 가깝다.「슬픈 偶像」은 1937년에 발표된 산문「愁誰語 4」를 1년 뒤에 시로 개작하여 발표한 것이다. 정지용이 산문으로 발표한 글을 시로 개작하여 다시 발표한 점에서 그의 산문시 형성 과정의 단초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정지용에게 산문시 형식은 운문의 형식에서는 마음껏 펼쳐 보이지 못했던 그의 내면적 갈등을 자유롭게 詩化하려던 형식적 실험이었다. 「슬픈 偶像」에서는 정지용의 기존의 종교시가 보여주던 종교적 추상성과 관념성의 과다한 노출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종교적 대상에 대해 회의하는 시적 화자의 슬픔과 고뇌가 대신하고 있다. 이는 「슬픈 偶像」이후로 창작된 10편의 산문시에 공통되는 특징이다. 비록 「슬픈 偶像」이 그 소재와 내용의 측면에서 정지용의 중기 종교시로 분류될 수도 있지만, 그 형식적 측면에서는 정지용의 후기 산수시 중 산문시로 창작된 10편의 시들과 여러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슬픈 偶像」은 정지용에게 있어 최후의 종교시이자 최초의 산문시였던 것이며, 그의 詩歷에 있어 중기의 종교시와 후기의 산수시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Jung Jiyong was the most dramatic poet whose changing process in his entire poetic history. He wrote children’s verse in his earlier days, accepted British-American intellectualism and wrote modern poems, wrote so-called sansu(山水) poetry in his collection of poems『Baekrokdam』. The sansu(山 水) poems in『Baekrokdam』are divided in two kinds, one is verse poetry and another is prose poetry. In his prose poetry, poetic teller's agony is much invisible than his verse poetry. In chapter 4 of 『Baekrokdam』, we can find a very interesting poem : 「Sad Idol」. This poem is Jung Jiyong's longest poem. Although it has a form of verse poetry, this poem is much closer to prose poetry in it's substance. 「Sad Idol」's origin was「Susuye(愁 誰語) 4」, a prose that published one year before 「Sad Idol」. Jung Jiyong transformed the prose into the poem. Why he did that? In the Answer we can find the very beginning of forming process of Jung Jiyong's prose poetry.
    To Jung Jiyong, the form of prose poetry was some kind of poetic experiment to express his internal agony which couldn't be expressed in his verse poetry. In 「Sad Idol」, there is no religious abstraction and conception that were much often shown in his earlier religious poetry.
    Instead of these religious abstraction and conception, the poetic teller's agony is replaced, and this is common in his later 10 prose poems.
    Therefore 「Sad Idol」was the last religious poem and the first prose poem in Jung Jiyong's poetic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