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정치적 구성: 현대 청도 종족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Socio–Spatial Categorization and Cultural Political Construction of Yangbanness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Modern Lineages of Cheongdo)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1.03
43P 미리보기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정치적 구성: 현대 청도 종족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54권 / 1호 / 217 ~ 259페이지
    · 저자명 : 박성용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청도 양반 종족원이 문화적 정체성을 두고 경합하면서 어떻게행정경계와 다르게 사회공간적 범주화를 실천하였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아울러서 필자는 집과 마을, 군의 하위지역, 도의 접경 지역에서 그들이 창출한 여러 가지 사회적 공간의제 형태와 문화적 경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양반 가문의 후손이 청도를 분획한 ‘산동’과 ‘산서’ 지역에 대한 사회공간적 표상은문화적 맥락에서 ‘양반다움’을 드러내는 정치적 행동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거리가공간적 거리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청도의 지리적 상이성을 토대로 한 종족집단의 정치적지배력에 대한 경합은 산동과 산서의 분절된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산서 지역에서는 서원이나 재실의 수가 놀랄 만하게 증가하는데 이것은 신양반이 정치적권력과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여 지역 엘리트로서 사회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문화적 실천을 하는 데서 비롯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더불어서 종족촌의 사회공간적 범주의 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토적 장소로서 중심된 마을은 ‘큰집’과 ‘작은 집’의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사회적 범주로서의 집은 종족으로 영속되고 있다. 분파된 종족집단은 군 경계를 넘어 위치하고 있다. 특히양가와 생가 사이에 재산상속 문제와 관련된 파양(罷養)이나 재양자 지정, 입양 이후 형성된파(派) 갈림으로 인해 마을의 사회적 공간도 구분된다. 둘째, 입가자에게는 사회적 구심력이, 출가자에게는 사회적 원심력이 작용하였다. 1970년대 이후 마을 사람들의 통혼권은 산서 지역에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묘소공간은 가까운 친척과 먼 친척의 관계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묘소공간은 산록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입촌한 선조로부터 아랫세대의후손을 매장하는 역장의 방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두 문중이 한 산소를 두고 벌인 묘시비로인해 마을과 미시 지역, 그리고 접경 지역을 넘어서 사회적 위계를 두고 다투는 권력장이 형성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how today’s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n Cheongdo practice socio–spatial categorization which differs from that of official administrative boundaries when contesting for cultural identity. By looking more closely at the diverse forms of social spaces they created through established cultural boundaries in villages, county subregions, and provincial border region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se descendants' cultural identity.
    Initially, the socio–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Sandong and Sanseo regions, which were separated by the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s one example of how the cultural influence of yangbanness has manifested in a political manner,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a social distance into a spatial distance in Cheongdo. The contestation between lineage groups over the political domination of physical territory has continued to influence the production of divided social spaces between Sandong and Sanseo.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anseo region, the number of Confucian academies, shrines has increased remarkably; which came about as a result of new elites’ social practices which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their social superiority through the enforcement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during the era.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spatial categories in Sinchon as a lineage village are as follows. Firstly, their main village consisted of a territorial place that included both a big house and a little house, which reveals how the house society, as a social unit, continued to perpetuate the concept of lineage. The segmented lineage groups are located across county boundaries, and the residents’ social space has been divided between the adoptive family and the adopted family, in accordance with the dissolution of adoption in relation to the succession of property, the designation of the re–adopter, and the division of family branch formed after adoption. Secondly, the social centripetal force which acts on women who marry into family, and the social centrifugal force’s effects on the women who marry out of the family. Since the 1970s, the marriage spheres of villagers have enlarged from the Sanseo region to across the country.
    Thirdly, the tomb spaces are arranged by networks of near kin and distant kin, and they are constructed in the manner of an upside–down burial, in which the descendants of the lower generation from the ancestors who entered the village are arranged from the bottom of the mountain to the top.
    The tomb lawsuits between the two lineages over the same graveyard created power fields which resulted in the quarreling over social hierarchy beyond their village, micro–region and border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