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년 취업 지원을 위한 ‘양 떼를 지켜라’ 문제해결 인형치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프로그램 사례연구 (Protect the Sheep: A Case Study of a Youth Employment Support Program Employing Problem-Solving Storytelling Therapy Using Figurin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5.04
21P 미리보기
청년 취업 지원을 위한 ‘양 떼를 지켜라’  문제해결 인형치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프로그램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형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인형치료연구 / 11권 / 1호 / 43 ~ 63페이지
    · 저자명 : 서경아, 최광현

    초록

    본 연구는 ‘양 떼를 지켜라’ 문제해결 인형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사전 동의한,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대학 졸업 또는 졸업 예정인 20대 청년 5명을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의도적․눈덩이 표집방법으로 모집하고 선정하여 진행한 연구이다. 일대일로 대면하여 1회기 50분 기준 2회기에 걸쳐 연구 참여자들의 스토리텔링을 사전 동의를 얻어 녹음하고 전사하여, 질적연구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청년들은 취업난 속 고용 경쟁을 ‘양 떼를 지켜라’ 속 양치기 개로 선발되기 위한 경쟁과 동일시하며 탈락의 아픔에 공감하기도 하였고, 늑대가 쳐들어온 위기 상황에서는 양 떼를 보호하는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주변 자원과 협력적인 전략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성공적 협상과 협력에 대한 기대는 높지 않았다. 무엇보다 임무를 수행했을 때 주어지는 공정한 보상을 중요시하였으며, 임무 수행과 보상의 불균형 상황에서는 근로의욕 저하와 조직 이탈 의사를 드러냈다. 특히 자신들을 고용한 양치기로부터 부당한 대우나 불충분한 보상을 받게 된 경우 강하게 반발하며 퇴사나 이직을 고려했다. 또한, 청년들은 실업 탈출과 조직에 대한 소속감을 갈망하면서도, 치열한 경쟁, 잦은 탈락, 직장 내 협력의 어려움, 불공정한 보상이나 관계 갈등 같은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조직 내에서 리더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지키고 싶은 대상으로 ‘나’를 우선시하여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역할을 선호하였다. 이같이 청년들의 스토리텔링에는 무의식적 생존 욕구와 사회적 욕구라는 대극(對極)이 나타났고, 이는 신화 속 영웅의 이야기 구조와 유사하다. 사회로부터 취업과 같이 사회적 재생산의 기능 수행이라는 과제를 부여받아 가정으로부터 독립하여 발달과업을 성취하면 자기효능감과 정체성을 얻어 사회의 구성원으로 금의환향하는 것이고, 반대로 취업이라는 통과의례를 거치지 못하면 부정적 자아정체감을 가진 채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살아가야 한다. 결핍된 환경에서 양치기 개로 선택받기를 갈망하던 존재에서, 늑대로부터 양 떼를 지키는 임무를 완수한 영웅이 되기 위해서는 대극적 두 욕구를 통합해야 한다. ‘양 떼를 지켜라’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은 무의식 속 부정적 감정과 문제해결 방식을 객관화하며,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었고 타인의 시각에서 자신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양 떼를 지켜라’ 문제해결 인형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이 청년들의 자기 인식과 통합적 사고, 사회관계 속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양 떼를 지켜라’ 문제해결 인형치료 프로그램은 더 나은 문제해결 대안 탐색은 물론 대극적 욕구의 통합을 도와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storytelling cases from participants in the Protect the Sheep problem-solving figure therapy program, aiming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ies of young adults facing employment challenge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ive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either recent graduates or soon-to-be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y were recruited through purposive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between November 2023 and October 2024, with prior informed consent obtained. The program was conducted over two sessions, each lasting 50 minutes. Storytelling session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symbolic figure therapy,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ssessment tools, a four-stage problem-solving model (competition–challenge–resolution–reward), the mythological structure of the hero’s journey (separation–initiation–return), and the therapeutic schema of the Protect the Sheep program.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nts identified the intense competition for employment with the narrative of being selected as a herding dog in Protect the Sheep. They empathized with the pain of failure and, in crisis situations symbolized by wolf attacks, demonstrated strategic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behaviors to protect the sheep. Although they attempted negotiation dur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expectations for successful collaboration were low. Participa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air rewards for task completion, and when faced with imbalances between effort and compensation, they expressed decreased motivation and a willingness to leave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unfair treatment or insufficient rewards from the “shepherd” (employer figure) provoked strong resistance and consideration of resignation or job change. Additionally, while the participants yearned to escape unemployment and sought a sense of belonging within an organization, negative experiences—such as fierce competition, frequent rejection, difficulties in workplace cooperation, unfair rewards, and interpersonal conflicts—led them to prefer less burdensome roles and prioritize self-preservation. Their storytelling reflected an underlying tension between survival needs and social aspirations. Like the journey of a mythical hero, these young adults were perceived as being tasked by society with fulfilling roles in social reproduction. Successfully completing developmental tasks and gaining independence from their families contributed to self-efficacy and identity formation, enabling them to return to society as “heroes.” Conversely, failure to pass through the “rite of passage” of employment was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a negative self-identity and social marginalization. The participants, initially part of a group of dogs hoping to be chosen by the shepherd, experienced symbolic growth as they overcame unconscious conflicts and completed their mission of protecting the sheep from wolves—mirroring the integration of opposing desires through the stages of competition–challenge–resolution–reward. In conclusion, the storytelling process within the Protect the Sheep problem-solving figure therapy program enabled participants to externalize negative emotions, objectify their internal conflict resolution patterns, and gain new perspectives through diverse emotional experien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can enhance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among young job seekers. As such, it offers a promising intervention tool for supporting youth employment by helping integrate survival and social needs while facilitating the exploration of effective problem-solving alterna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