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士禍期 한 젊은 사대부의 肖像 - 虛庵 鄭希良論 - (The Portraits of a Young Illustrious Official during the Massacre of Scholars - A Study of Heoam Jeong Hee-rya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09.08
31P 미리보기
士禍期 한 젊은 사대부의 肖像 - 虛庵 鄭希良論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29권 / 29호 / 27 ~ 57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초록

    본고는 우리 역사상에서 다양한 얼굴로 조명되는 인물 중의 하나인 정희량을 ‘肖像’이라는 화두로 접근하여 시대와 관련된 의미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초기 시에서 정희량은 儒者的 신념에 투철하고 의지가 굳었던 인물로 나타난다. 그와 절친하게 지냈던 친구들 역시 강직한 성품, 강한 자부심,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기개를 가진 인물로 정희량을 형상화하였다. 그러나 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 길에 오르면서 정희량이 시 속에서 그려내는 자화상은 점차 변모의 양상을 보인다. 특히 홀로 유폐되어 있다는 고립감과 점점 쇠약해져 하는 몸, 이상 사회에 대한 절망적 인식 등은 정희량이 초기에 지녔던 단단한 마음가짐과 낙관적 기대를 차츰 허물어뜨리게 되고 이후 그의 시적 정서는 체념과 자조, 비애로 전이되어 간다. 유배시절에 집중적으로 지어지게 되는 신선을 소재로 한 시, 仙界 지향이나 仙化 욕구를 표출한 시들 역시 현실의 질곡을 벗어나고자 하는 초탈의 욕구와 맞물려 있다. 그가 그려내는 신선은 불우한 현실 너머에 ‘되고 싶은’ 이상으로 존재하며 선계 역시 부정적 현실의 대척선상에서 ‘도달해 보았으면’ 하는 소망의 공간으로 자리한다. 그런가 하면 정희량은 강가에 신을 벗어놓고 사라진 후 설화 속에 다시 등장하면서 완전히 다른 형태의 인물로 탈바꿈한다. 어디엔가 시를 써 놓고, 또는 누구엔가 시를 건네주고 사라지는 方士, 또는 老僧의 형상이다. 그가 남겼다는 시에는 속세의 시름과 티끌을 완전히 털어낸 광대한 우주가 있고 모든 얽매임에서 벗어나 자유자재하는 초월적 존재가 있다. 이때 등장하는 시들은 그가 남긴 선계 취향의 시들이 초월을 꿈꾸었지만 끝내 동경과 지향에 머물 수 밖에 없었던 것과는 다른 차원의 시세계를 보여준다. 물론 이 시들이 정희량의 지었다는 정확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그의 불우한 삶과 채 펼쳐 보지 못한 꿈, 그리고 일찍 생을 마감함으로써 함께 접어야 했던 시적 재능은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 ‘살아있는 정희량’을 염원하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의 시신이 끝내 발견되지 않음으로 인해 현실에서의 좌절을 다른 세계에서 극복, 또는 초월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바람은 세상의 이욕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의 억압과 굴레를 벗어난 초월적 인물로, 세상 사람 누구도 쓸 수 없는 시를 쓰는 뛰어난 시인으로 정희량을 재형상화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초상은 유교 이념에 투철하고 현실 개혁 의지가 강한 新進士類들이 정계에 진출하여 그들의 이상을 펼쳐보고자 했지만 勳舊勢力들에 의해 뜻이 좌절 될 수 밖에 없었던 士禍期, 국가 차원에서 유교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지만 도교 불교의 유습을 청산하지 못했던 사상적 과도기가 낳은 산물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read the meanings of Jeong Hee-ryang, who's one of the figures illuminated in diverse aspects in Korean history, in relation to the times by taking an approach of "portrait."
    In his early poems, Jeong strongly believed in the ideas pursued by Confucian scholars and demonstrated an iron-like determination. His close friends too described him as someone who had a solid personality, huge pride, and spirit not to compromise with injustice. However, he's sent into exile being accused of connections with the Muo massacre of scholars. Being an exile, he gradually changed his portrait in his poems. Suffering from a sharp sense of isolation at a remote place, increasingly weakening body, and desperation of an ideal society not realized, he little by little lost his solid mindset and optimistic expectations he had in early days. In face, his poetic sentiment became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resignation, self-scorn, and sorrow. During his exile, he produced a large number of poems about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his pursuit of their world, and his desire to become one. Those works corresponded with his desire to escape and transcend the shackles of reality.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were described as ideas he "wished to be" beyond his dark reality. Their world was depicted as a place he "wished to reach" leaving the negative reality behind. However, he disappeared leaving his shoes behind at the shore of a river one day. After his abrupt and mysterious disappearance, he returned as a totally new kind of person in folklore. He's like a bangsa(someone that mastered the powers of Taoist hermits) or an old Buddhist priest that left his poems somewhere or handed over his poems to people before disappearing. Those poems talk about the immense universe where the pain and dirt of the secular world are removed and the transcendent beings that are free from all kinds of bondage. They in fact present a poetic world of a different dimension from his works before his sudden disappearance in which he was forced to live with mere yearning and aspiration despite his dream of transcendence. Of course, there is no accurate proof that those were written by Jeong himself. But people must consciously have wanted to see "living Jeong" again since he led such an unfortunate life, his dreams never came true, and his poetic talents were suspended by his early death. They also wanted him to overcome or transcend his frustrations in reality in another world as his body was never recovered. As a result, he's reborn as a transcendent figure free from the interests of the world and the suppression and bondage of reality and a talented poet that wrote poems never to be written by other poets. The diverse portraits of Jeong were the products of the massacre period of the scholars, when the Hungu group stamped on the new generation of illustrious official that strictly followed the Confucian ideas, were driven by their strong determination for revolution, and wanted to fulfill their ideas in politics. And they were also the products of the transitional period where the government tried to build a new framework for Confucian society but failed to discard the old customs of Taoism and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