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인물전승의 ‘패랭이[平凉子] 지식인’ 형상 (Shape of “Paeraeng-e(Rough Hat of Bamboo Braid Worn by Mourners) Intellect” in Transmission of Characters in Joseon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2.07
31P 미리보기
조선시대 인물전승의 ‘패랭이[平凉子] 지식인’ 형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39호 / 41 ~ 71페이지
    · 저자명 : 이승수

    초록

    이 글은 조선시대의 여러 인물 전승을 텍스트로 삼아 ‘패랭이 지식인’이 하나의 문화적 인물 표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이다. 패랭이는 애초 비나 눈을 가리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흔한 갓이었고, 官服이나 禮服이 아닌 平服의 일부였으며, 조선후기에는 백정이나 보부상같은 낮은 신분의 표지로 전락하였다. 조선시대의 기록을 검토하다 보면 패랭이를 착용한 모습으로 포착되는 인물들이 적지 않게 나타나 눈길을 끈다. 15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12명의 패랭이 착용 인물들의 공통점을 찾는다면 세 가지 정도로 추릴 수 있다. 첫째는 流浪性이다. 유랑성은 사회적 불안정성과 역동성을 동시에 지닌다. 이들에게는 사회 질서를 흔들거나 새로운 질서를 만들 가능성이 함께 내재되어 있다. 둘째는 주류 규범과의 不和 또는 예법에 대한 부정이다. 이는 사회 주류와의 관계에 있어 가치관의 충돌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존 질서를 전복시킬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소극적 대항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셋째는 주류 명사들을 압도하는 뛰어난 식견이다. 여기에 도덕적 우월성이 포함되기도 한다. 이는 이들이 세상을 조롱하거나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을 자신 있게 감행하는 내적 근거이다. 이 세 가지 성향을 대변하는 표지의 하나, 또는 전체 상징이 되는 것이 바로 패랭이다. 패랭이 착용은 자기모순의 현시이며 지배 윤리에 대한 부정의 표지인 것이다. 이를 토대로 ‘패랭이 지식인’을 거칠게 규정하면, “뛰어난 식견을 지녔으나 주류 세계의 가치관을 용납하지 못하여 하천인들의 패랭이를 착용하고 규범을 벗어나는 행동을 하며 방랑(방황)하는 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다. ‘패랭이 지식인’이 조서시대의 문화적 상징이 될 수 있는지, 나아가 동아시아 차원으로 확대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which ‘Paerang-e intellect’ could be the symbol of cultural character with diverse kinds of stories about characters in Joseon period as the text. Paeraeng-e was the general hat made for the practical purposes to block rain or snow. It was a part of the plain clothes, not official uniform nor formal dresses. It was degraded to the symbol of low social rank including butchers or peddlers in late Joseon period. In the records in Joseon period, the characters putting on Paeraeng-e are found a lotand so draw attention. There are three common features among 12 characters with Paeraeng-e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first common feature is wandering. Wandering means both social instability and dynamic. Such elements also include the possibility to disturb the public order or create new order. Second common feature is discord with mainstream norms or denial to etiquettes. It means the collision against value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mainstream in a society. However, it is exposed as the passive resistance because of no power to turn over the existing order. The third common feature is the distinguished insight overwhelming mainstream celebrities. It also includes moral superiority. It is the inner basis for them to mocking the world or to bravely break norms away.
    One symbol representing three features above is Paeraeng-e. Putting Paeraeng-e on is the revelation of self-contradiction and the symbol of denial against dominating ethics. On the basis of such features, ‘Paeraeng-e intellect’ can be generally defined as ‘intellect who don’t accept the values in the mainstream society even with superior insight, but wanders as doing something beyond norms with putting Paeraeng-e of those in lower class on.’ More in-depth discussion is required on whether ‘Paeraeng-e intellect’ can be the cultural symbol of Joseon period and can be expanded to the scope of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