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중후기 歐陽修 散文의 수용과 영향 (The acceptance and influence of Ou-Yang Hsiu(歐陽修)’s prose in Middle and Later Jose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5.04
39P 미리보기
조선조 중후기 歐陽修 散文의 수용과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44호 / 237 ~ 275페이지
    · 저자명 : 김춘란

    초록

    歐陽脩의 글은 韓愈․蘇軾․曾鞏의 고문과 함께 ‘韓歐’, ‘歐蘇’, ‘歐曾’ 등으로 불리여 당대나 후세의 중국 문인들에게뿐 아니라 한국문인들의 문학관과 글쓰기의 전범으로 되여 한문학의 발전을 크게 추진하였다.
    조선조 중후기 문인들은『歐蘇手簡』의 서정성을 발견하고 ‘情’, ‘情懷’, ‘情致’ 등 용어로 글에서 사용하였는데, 이는『歐蘇手簡』이 尺牘문학의 단서로 되었음을 말해준다. 한문사대가 張維는 歐陽修의 문학관을 ‘花實兼備’로 새롭게 표현하였으며, 歐陽修의 刻意潭思하는 창작태도에 동감을 표했다. 金昌協은 歐陽脩 散文의 예술적 효과로 되는 ‘陰柔’와 ‘風神’ 요인을 분석했으며, 歐陽修 碑誌文의 편장구조와 서사기법을 탐색수용하여 碑誌文이 실용성으로부터 문예성으로 전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文體는 세상의 汚隆과 관계가 있다는 전통적 관념과 ‘意順’과 ‘辭達’의 문장관을 갖고 있는 正祖는 文體反正을 일으켜 공고한 통치체제를 이루고자 하였으며 문체 혁신을 하여 문풍을 바로 잡은 歐陽修 같은 인물을 갈망하였다. 문체반정의 결과 歐陽修의 글은 洪奭周, 金邁淳 등 관각문인을 중심으로 하여 문장작법의 準的인 기준이 되었다. 이들은 ‘骨骼’과 ‘風韻’이 뛰어난 글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와 같은 글을 짓자면 반드시 마음 수양을 닦아 도에 가까워지는 것이 관건임을 지적함과 아울러 도의 진실한 내용과 마음의 형상화, 즉 꾸밈이 통일되어 “文道合一”을 이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는 문장학의 독자성을 인정하는 의식의 대두와 散文이 시와 대립되는 하나의 장르로 부상하는 시기를 둘러싸고 조선조 문인들이 歐陽脩 散文의 어떤 요소를 어떻게 수용하여 자기의 것으로 만들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The prose and poems of ancient poet Ou-Yang Hsiu(歐陽修), together with the literary works of ancient poets HAN Yu(韓愈), Su Shi(蘇軾), Zeng Gong (曾鞏), whose works are known as “HANOU”, “OUSU”, “OUZENG” in short, have been models in terms of literary outlook and literary writing for not only contemporary and later Chinese scholars but also for Korean scholars, this phenomenon has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e Florilegium of the Letters Ou-Yang Hsiu (歐陽修)and Su Shi(蘇軾), the Scholars of the Middle and Latter Joseon Dynasty discovered the lyricism and then started to use words such as “Sentiment (情)”, “Feelings (情懷)”, “Temperament(情致)” in their literary works, which indicates the Florilegium of the Letters Ou-Yang Hsiu (歐陽修)and Su Shi(蘇 軾) was the beginning of Epistolary Literature. Jang Yu(張維), of the Joseon Dynasty, one of the four greatest Joseon Scholars in Han Chinese Literature, with a novel look, indicated that the literary outlook of Ou-Yang Hsiu (歐陽修)was expressed in “the representation of both Flowers and Their Fruits”, and expressed his identification with Ou-Yang Hsiu’s composition spirit in the profound contemplation. Kim Changhyeob(金昌協), of the Joseon Dynasty, gave analyses over the artful effect of “Feminine Delicacy (陰柔)” and “Literary Grace (風神)” in the prose of Ou-Yang Hsiu (歐陽修). He studied and took in textual structure and narrative techniques of the epitaphs of Ou-Yang Hsiu (歐陽修),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in converting the practicality of epitaphs into the literariness of epitaphs. Cheong-cho (正祖)in whose traditional thoughts literary style was considered to have much to do with rise and fall of a regime, and in whose literary concept “Coherent ” and “Accurate Wording(辭達)” were given much attention, longed for a character like Ou-Yang Hsiu (歐陽修) who could rectify literary style, in order to realize literary reformation and to establish a solid control system. Literary style rectification has made the prose of Ou-Yang Hsiu (歐陽修) a standard of writing for the Gwangak literary men such as Hong Shijoo (洪奭 周)and Kim Maesun(金邁淳). They advocated that words should reflect “Literary Structure(骨骼)” and “Literary Style(風韻)" through constant cultivating moral values and achieving Taoism, and through “Fusion of Literature & Taoism” where there is representation of true content and mindset visualization. In acknowledging the rising consciousness of independency in the article study, focusing on the period when prose and poem began to appear in contradictory style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literary men of Joseon Dynasty took in what element from the prose of Ou-Yang Hsiu (歐陽修)for their own ut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