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이후 교회가 나아가야 할 길: 사목 패러다임의 전환 (Task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Post-Corona Era: Shifts of Paradigms in Pastoral Ministry)

6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1.12
63P 미리보기
코로나19 이후 교회가 나아가야 할 길: 사목 패러다임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과사상 / 85호 / 147 ~ 209페이지
    · 저자명 : 정규현

    초록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교회는 나아가야 할 길을 재정립해야 하는 때(Kairos)에 봉착했다. 한국 천주교회는 사상 처음으로 공동체 미사가 중지되었고, 전반적인 사목 지표들이 저하된 상황을 맞이했다. 코로나 위기 상황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통계 분석이나 신학적 성찰을 통하여 교의적이거나 사목적 진단과 전망을 제시하였다. 다만, 현장 사례에 기반하여 팬데믹 상황에서 시도되고 있는 의미 있고 창의적인 사목이 수행되고 있는 구체적인 경험적 사례조사와 이를 귀납적으로 분석한 사목 패러다임의 전환을 논의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 내 사목자와 평신도가 본당 사목 현장 안팎에서 실천하고 있는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사목 유형과 방식을 조사하고, 그러한 시도 속에 담겨 있는 사목적, 신앙적 가치와 의미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사목적 쇄신과 변화에 관한 함의와 방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사례조사(case study)를 통해 이뤄졌다. 본 연구는 본당 사목자의 능동적 회심, 평신도의 자발적 참여활동, 시노달리타스 실천, 온라인 비대면 환경 (유뷰트)의 활용을 기준으로 사례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사례에 관해서 참여관찰, 심층 인터뷰, 문헌 조사 등을 활용하여 경험자료들을 수집하고 삼각측정에 기반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사목적 패러다임 전환 차원에서 ‘열린 본당에서 상주하며 인격적 돌봄과 영적 친교를 실천하는 사목’, ‘책무성과 진정성에 따른 공감의 사목’, ‘동반하고 경청하며, 역량 강화를 통해 시노달리타스를 실천하는 사목’이라는 세 가지 사목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시노달리타스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오늘날,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이를 실천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발굴하고 그 안에서 사목 일선에서 참고하고 성찰해볼 수 있는 실제적인 다양한 사례들을 제공하였다. 둘째, 사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대표적인 온라인 플랫폼인 가톨릭 관련 유튜브 채널들을 유형화하였다. 셋째, 오늘날 교회 문헌이 사목자에게 요구하는 사목적 패러다임 전환의 방향과 지향을 경험사례에 근거한 귀납적 성찰을 통하여 명료화하였다.

    영어초록

    Nowadays, the Church has faced a very special time (kairos) to change the ways of its being and doing in a new era of Corona crisis: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halted a mass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and its overall indices (e.g. mass attendance, offerings, etc.) have significantly dropped. So far many research has done based on statistical comparisons or theological reflections and offered a new pastoral visions; however, they lacked empirical analysis of new pastoral cases where a new pastoral conversion has been initiated. Thus, this study tried to collect new cases of meaningful pastoral attempts tried by pastors or lay people which explore and pursue new horizons of pastoral conversion in the light of synodality.
    This study has performed case study with a set of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In particular, the cases were selected by the four criteria: 1) a pastor’s voluntary conversion, 2) lay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3) ecclesial efforts for synodality, and 4) online (Youtube). Based on triangulation of researchers trying to reach the validity of empirical cas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inductively three paradigm changes: 1) open, parish-residential pastorship with personal care and spiritual communion; 2) Compassion-driven pastorship with accountability and authenticity; 3) Synodality-oriented pastorship with the accompaniment of hearing and empowerment.
    This study has several significances. First, researchers offered concrete empirical cases reflecting on the new modes of pastoral conversion and the significance of synodality at the time of Corona crisis. Second, researchers analyzed meaningful types of Youtubes in the online contexts of new pastoral participation. Third, researchers clearl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pastoral paradigms in the light of the contemporary church teachings and magisteri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과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