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개자(Mediator)로서의 메데야(Medea) 형상 연구 -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Medea as an Embodiment of the Mediator: Focusing on the Time and Space of Medea and Her Childre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0.08
42P 미리보기
매개자(Mediator)로서의 메데야(Medea) 형상 연구 -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119권 / 61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혜영

    초록

    고대 그리스 신화 속의 메데이아(Medea)는 남편에 대한 복수로 자신의 아들들을 제 손으로 죽인 ‘잔혹한 악녀’의 이미지를 가지며, 이러한 메데이아의 이미지는 여러 문학 장르는 물론, 다른 예술장르들을 활발히 오가며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소비되는 모티프로 자리 잡고 있다.
    러시아의 여성 작가 울리츠카야의 소설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 도 그 제목에서 자연스럽게 기존의 그리스 신화 속의 메데이아의 형상을 떠올리게 되며, 독자는 기존 신화 속 메데이아의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울리츠카야의 메데야를 읽으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하지만 울리츠카야는 자신의 두 아들을 죽여 버린 잔혹한마녀의 이미지를 갖는 ‘메데이아’의 이름을 차용하면서도, 신화와 달리 남편과 사별한 후 과부로 아이도 없이 홀로 살아가는 여성 ‘메데야’를 그려낸다. 신화 속 메데이아와 극명하게 구분되는 근본적인 차이가 바로 이것이며, 이 지점에서 기존신화에서의 메데이아로 울리츠카야의 메데야를 읽으려는 시도는 완전한 설득력을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본 연구는 울리츠카야가 왜 여러 신화들 가운데 ‘메데이아’라는 형상을 빌려왔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부터 출발하여, 울리츠카야의 메데야와 그녀의아이들 에서 재창조되고 있는 메데야의 형상에 집중한다. 작가는 복잡한 시간과공간을 활용하면서 소설을 전개하는데,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설정이 매개자로서의 새로운 메데야의 형상을 창조하는 도구가 된다고 보고, 이를 중심으로 분석을시도하고 있다. 울리츠카야의 메데야는 소설의 시간적 구성을 주관하며 그 서술의중심에선다. 메데야가 등장하는챕터에서는과거와 현재를 오가며사건이 서술되지만, 메데야가 사라진 챕터에서는 과거에 대한 기록과 기억이 없이, 현재의 사건만이 서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소설 초반에 사어(死語)에 불과했던 고대그리스어의 존재 그리고 사라졌던 남동생의 존재는, 소설 후반부에 메데야를 통해살아있는 언어로, 살아있는 남동생의 소식으로 반복된다. 독자는 메데야를 통해소설의 전체적 구성이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메데야를 매개로 하여 과거와 현재가 연결되어 마주치는 것을 확인한다.
    메데야는 ‘시간’뿐 아니라 ‘공간’안에서도 매개자이자 중재자로 자리한다. 크림반도에 있는 메데야의 집은 라스토르구예보에 있는 부토노프의 집과 정반대의모티프로 서로 대비된다. 로트만은 ‘집(돔)’의 개념과 반대되는 것으로서 ‘안티돔’ 을 말하는데, 메데야의 집이 역사와 규율을 가지는 ‘돔’의 역할 및 기능을 하는 공간이라면, 부토노프의 집은 ‘안티돔’으로 기능하면서 이 소설 내의 메데야의 집의의미를 더욱 부각시키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메데야의 집은 규율과 전통이 있는 공간이며, 그 집에 들어오는 모든 존재들을 그들의 가치 그대로 포용하고 받아들이는 공간이다. 그리고 그러한 메데야의 집의 속성은 남편과 여동생이 자신을배신했다는 사실을 알고도 받아들이고 감내하며 살아가는 메데야 자신의 형상과도 일치하며, 울리츠카야가그녀에게 부여하는 검은 메데야의 이미지는 그러한메데야의 형상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든다.
    현재와 과거가 교차되고 중첩되는 서술의 중심에 메데야가 있다면, 모든 존재들을 포용하는 그녀의 집은 혈연과 혈통을 뛰어넘어 새로운 계보의 탄생을 만들어 내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메데야는 이 소설 속의 시간과 공간을 통해 새로운신화를획득한다. 울리츠카야가 자신의 소설속에서 창조하는 형상은 과거와 현재를 매개하는 매개자(mediator)이자 서로 다른 존재들을 포용하고 연결하는 중재자(intermediary)로서의 메데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Ulitskaja’s novelMedea and her Children b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time and spaces of this novel. The title of the novel reminds readers of the well-known Greek myth, ‘Medea’, which has a strong image of a wicked and cruel woman who killed her own sons to avenge her unfaithful husband. However, Ulitskaya, already at the beginning of the novel, rewroteMedea’s image, making her as a faithful widow without children. This is the very moment that readers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deas and fail to interpret Ulitskaya’s Medea as one of the variants of the cruel Medea from myth. It is significant that Ulitskaya chooses the name of “Medea” to create her own “ChildlessMedea.” Ulitskaya’s Medea becomes an important mediator, linking all of the past and present events in the novel. This novel is not written in a chronological manner; all the events were seemed to be put randomly. By arranging the composition of time structure, we can figure out that Medea’s memories play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hermemories become dominants of the composition of the whole novel. Readers not only can see how past memories are becoming meaningful events in the present, but also can see there is alwaysMedea, a constant mediator of the past and present events with her remembrance.
    Medea’s house in Crimea also becomes a significant place. Medea’s house is described as a place which embraces all differences of people and family members, similarly to Crimea which is a place of varied history, of a rich and diverse culture by accepting all difficult times. Another house in this novel, which we can draw comparisons withMedea’s house, is Butonov’s house. Butonov is one of the characters who visitedMedea’s house. His own house is in Rastorguevo, small town inMoscow.
    Compared withMedea’s house in Crimea, Butonov’s is described as half-broken house and it does not have a history nor rules. Furthermore, in his hous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re broken up. As the name of Rastorguevo is a paronym with a Russian verb Rastorgnut’ which has the meaning of ravagement and brokenness, Butonov’s house becomes a place of brokenness, and symbol of anti-house. The analysis of spaces in Medea and her Children shows that Medea’s house is featured prominently as a great place of tolerance and generosity, regardless of blood 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ovel, finally, we can see that “ChildlessMedea” and her house become the symbol of forgiveness, tolerance, and patience. Ulitskaya’s Medea can be defined not as the incarnation of revenge, but as the meaning of “Mediator” as well as “Intermedi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