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유한 신체의 경험을 통한 애도 공간 특성 연구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Space through Unique Physical Experiences -Focusing on Merleau Ponty's Phenomenolog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0.12
12P 미리보기
고유한 신체의 경험을 통한 애도 공간 특성 연구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8호 / 593 ~ 604페이지
    · 저자명 : 원예진, 김지은, 김개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추모가 ‘죽음을 기린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애도는 ‘죽음을 슬퍼하고, 슬픔을 극복’하는 것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애도의 감정은 신체의 지각을 통해 느끼는 몸의 경험이다. 이를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바탕으로 고유한 신체의 경험과 데리다의 애도 이론을 결합하여, 살아남은 자들이 온전히 애도하고, 슬픔을 극복함으로써 삶의 의미가 확장되어지는 ‘애도 공간’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의 기억하고 회상하는 추모 공간을 넘어서, 상실한 대상에 대한 슬픔을 느끼고, 마주함으로써 슬픔을 극복하는 체험적 애도 공간의 가능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바탕으로 ‘상호신체성’과 ‘시공간성’, ‘살’의 개념을 통해 고유한 신체의 특성이 예술론에서 회화와 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고찰한다. 이후 고찰한 내용을 자크 데리다의 애도이론과 결합시켜 상실한 타자에 대한 ‘애도하는 신체’의 특성과 ‘애도 공간의 요소’를 도출한 뒤, 이를 사례분석의 틀로 삼았다. 2000년도 이후를 기준으로 기존의 추모공간에 주목 하여 홀로코스터 박물관, 스타일네셋 박물관, 9.11 추모공원, 오클라호마 추모 공원 등의 사례에 적용시켰으며, 애도 공간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사례에 제시된 추모 공간들이 관람자의 참여, 즉 ‘상실된 타자와 관람자의 관계, 현재에 경험하는 과거에 대한 흔적들, 보이는 것을 통한 보이지 않는 의미의 발견’이 가능하였으며, 애도 공간의 요소로 도출한 ‘애도의 대상들의 여부, 애도를 위한 죽음의 표정(분위기)을 보여주는 빛과 색채, 애도의 원인이 되는 죽음의 구조적 자연물이나 인공물’등이 공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근본적인‘죽음’을 공간에 가시화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들에게 애도의 감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애도 공간의 가능성을 찾았다. (결론) ‘죽음’은 상실의 근본적인 원인이자 유한한 존재들에게 필연적으로 다가올 미래로 확정되어져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가오는 죽음을 마주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삶을 바라보아야한다. 단순히 애도를 의식적인 것이 아닌 신체의 경험을 위한 기준으로‘애도의 대상이 누구인지, 무엇을 통해서 가능한지, 어떻게 경험할 것인가’를 제시함으로써, 관람자가 죽음을 맞이한 타자를 진정으로 애도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 죽음의 의미가 부정적인 것을 넘어 삶의 의미로 확장되어지는 가능성으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f memorial service means 'to commemorate death', mourning refers to the whole process from 'to mourn death and overcome sorrow'. The feeling of mourning is the experience of the body through the body's perception. Based on Merleau Ponty's phenomenology, we combine the unique physical experience with Derrida's mourning theo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rning space' in which the survivors fully mourn and overcome sorrows, thereby expanding the meaning of life. Therefore, it aims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an experiential mourning space that overcomes sadness by feeling and confronting a lost object beyond the existing memorial space to remember and recall.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s how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body were applied to paintings and spaces in art theory through the concepts of 'mutual physicality', 'spatiotemporality' and 'flesh' based on Merleau Ponty's phenomenology. .Afterwards, the considerations were combined with Jacques Derrida's mourning theory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rning body’ and the ‘element of the mourning space’ for the lost other, and then used this as a frame for case analysis. From 2000 onwards, the existing memorial space was focused and applied to cases such as the Holocaust Museum, the Steilneset Museum, the 9.11 Memorial Park, and the Oklahoma Memorial Park, and the possibility of the mourning space was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morial spaces presented in the case were able to participate in the spectator's participation,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st other and the spectator, traces of the past experienced in the present, and discovery of the invisible meaning through the visible'. A fundamental 'death' by composing the derived 'objects of mourning', light and color showing the expression (atmosphere) of death for mourning, and structural natural objects or artifacts of death that cause mourning in various ways within the space. Was visualized in space. Through this, we found the possibility of a mourning space that can elicit a feeling of mourning to the viewers. (Conclusions) 'Death' is the fundamental cause of loss and is confirmed as the future that will inevitably come to finite beings. Therefore, we must look at life starting with facing the coming death. By presenting 'who is the object of mourning, through what is possible, and how to experience' as a criterion for physical experience, not simply mourning, a space where viewers can truly mourn the other who died. Through this, I hope that the meaning of death will be connected to the possibility that the meaning of death goes beyond the negative and expands to the meaning of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