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종기 초기 시의 생태적 애도 -「證例」연작 읽기 (The Ecological Mourning of Ma Jong-Gi’s Early Poems in 1960s : How to Read the Series Poems ‘Case of Disease(證例)’)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06
31P 미리보기
마종기 초기 시의 생태적 애도 -「證例」연작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82호 / 167 ~ 197페이지
    · 저자명 : 윤종환

    초록

    이 연구는 마종기 초기 시의 「證例」 연작(1-6)에 주목한 후, 이 시리즈에 드러난 시적 주체의 사유를 ‘생태적 애도’로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기존에 분석한 마종기의 “이주민” 의식의 의미를 생태 층위로 연결·확장하는 작업이다. 이전 분석에서는 시적 주체가 ‘의사-사망선고자’로서 죽음을 진단할 수밖에 없으면서도 타자의 삶과 죽음의 경계를 함부로 판단할 수 없다고 느끼는 경계선에서의 불안을, “세계와 타자에 대한 지적 판단과 상징적 정착을 우회하는 이주민 의식으로 승화”한다고 밝혔다. 그리하여 타자를 잠식하지 않고 그 고유의 자리를 마련하려는 문학적 실천으로 마종기의 “이주민” 의식을 읽어냈다.
    그의 초기 시세계를 불확정적 주체의 “이주민” 의식이라는 열쇳말로 볼 때, 그 열쇠구멍은 텍스트에서 중층적으로 얽혀 드러나는 생태적 사유이다. 그의 이주민 의식이 탈아(脫我, ecstasy)적 특성을 띄는 가운데, 흙·나무·물·바람 등 자연생태의 장(場)에서 확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초기 대표작인 「證例」 연작에서 의사-분해자 주체는 타자의 죽음을 기종결된 현실검증(reality-testing)의 사건으로 보지 않는다. 본디 ‘분해’는 생(生)과 사(死)를 매개하는 생태계의 ‘기능’이고 ‘의사-부검자’ 역시 삶과 죽음을 매개하는 ‘기능자’이지만, 주체는 자연과 다르게 사회적 자아로서의 자기 기능성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만이 타자의 죽음 앞에 온당한 태도인지 묻는다.
    이 지점에서 마종기만의 애도가 수행된다. 이때 애도의 조건으로 ‘자기 분해’가 제시되는데, 주체는 분해자로서의 경험을 자기에로 향하게 하는 ‘자기 분해’, ‘자아 소멸’을 상상함으로써 타자를 위한다는 최후의 자의식마저 한 번 더 훼기한다. 이와 같이 분해된 자아와 타자는 모두 ‘생태계’에 공동 행위자(co-agent)로 존재하게 되고, 자-타의 위계와 생사의 경계가 탁화되는 국면이 시적 배경으로 제시된다. 마종기는 스스로 분해되기를 택해 타자와 생태계 내에 공거(cohabitation)해 상호행위하려는 ‘생태적 애도’를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공존(共存)을 상상한 것이다. 초기 마종기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사에 대한 이분법적 판단을 둘러싼 재현 체계의 밖을 노정하고, 타력 중심의 관계 맺기를 통해 “이주민” 의식의 층위를 생태 차원으로 심화해나간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nect and expand the meaning of the “consciousness of immigrant” of Ma Jong-Gi's early poems in the 1960s, which I've analyzed before, to the ecological level by focusing on Ma's poem series 證例(1~6)―which refers to the case of diseases in English―written around the same period and by newly defining the key-thoughts of the poetic subject as ‘ecological mourning.’ What I argued in the previous paper was that the poetic subject sublimates the anxiety originating between the reality that has no choice but to pronounce others' death as a doctor and empathy to let others' death be without judging it to the consciousness of immigrants, proving that this sublimation is a literary practice not to encroach on the others by the pronounce of death but to secure the places for others on their own incessantly.
    Regarding the context above, when the consciousness of immigrants is a keyword of his early poems, the keyhole would be ecological thought revealed in his text. In the works of 證例 series, although the subject is a doctor who encounters the death of others during autopsy-decomposition, he does not view the death as an event of reality-testing that already has been concluded. The mourning begins from this time. The poetic subject presents ‘decomposition’ as an essential precondition for mourning and secures its phase at the ecological level by imagining ‘self-decomposition’ and ‘ego extinction’ that directs the practice toward oneself.
    The decomposed/being decomposed poetic subject exists inside the ecosystem together with dead others, and mourning is embodied as a practice of imagining coexistence in an ecological space. In this way, both the decomposed self and the other exist as co-agents in an 'ecosystem', and the hierarchy of self and other and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are reconstructed in a poetic setting. This is how Ma imagines a new coexistence by performing an 'ecological mourning' in which he chooses to decompose himself and cohabit within the ecosystem with the others.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poetic subject of Ma's early works explored the outside of the representation system surrounding the dichotomous semanticization of life and death, and expanded the context of immigrants' thought to a level of eco-dimension by ‘ecological mourning’ involving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other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