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蒼巖 李三晩의 學書淵源과 學古精神 (A Study on the System of Changam Lee Sam-Man's Calligraphy Theo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7.12
34P 미리보기
蒼巖 李三晩의 學書淵源과 學古精神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30호 / 241 ~ 274페이지
    · 저자명 : 이은혁

    초록

    1988년 7월에 전주문화방송(MBC) 주최로 열린 『蒼巖 李三晩 遺墨展』은 창암 서예 연구의 발단을 일으킨 의미 있는 전시였다. 전시에 맞춰 발간된 『蒼巖 李三晩 遺墨帖』(전주문화방송, 1988年刊)에는 수집 전시된 작품이 원색으로 인쇄되어 있다. 책의 뒤편에 첨부한 해설은 향토사학자로서 전북문화재위원이었던 고 작촌(鵲村) 조병희(趙炳喜) 선생이 집필하였다. 「蒼巖 李三晩 書道와 生涯」라는 제하의 장문으로 간단한 생평을 소개한 뒤, 원문과 해석을 제공함으로써 창암 서예연구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이후로 창암에 대한 관심이 재고되어 서첩들이 꾸준히 발굴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은 창암 선생의 나이 71세(庚子, 1840년) 때 완산 공기골[上關]에서 집필한 『기오이적(機奧異跡)』의 발굴이다. 창암에게 작품 이외에도 별도의 체계적인 서론이 존재하고 있음은 창암 연구 즉 예술가로서의 그의 작품은 물론 더 근원적으로 미의식과 가치관을 총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었음을 의미한다.
    『기오이적』을 비롯한 창암의 단편적 서론을 읽다보면 일면 구조적 체계성이 발견된다. 논설의 입장은 필법전수와 자득성가한 작가의 측면으로 대별할 수 있다. 후학들을 위하여 체득한 법칙들을 체계적으로 전술하는 학습론의 성격을 보이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서의 가치와 궁극적 목적을 성찰하기도 한다. 법(法)의 측면에서 본다면, 전자의 경우에는 전통적인 고법(古法)을 강조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법을 초월한 무법(無法)을 역설한다. 전통적인 고법은 역사적으로 검증된 학서의 표준으로서 학서자가 숙련해야 할 필수적 과정이며, 무법의 경지는 자득성가한 서가가 일체의 법을 초월하여 자오(自娛)하며 자유를 만끽하는 예술가의 이상세계이다. 즉 유법을 통한 무법의 실현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처럼 창암의 저술과 서첩에 남겨진 문장들을 세밀하게 고찰하면 그만의 득의처와 차별성을 부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간의 연구들은 창암의 서예를 조명하는 한편 서론에 내포된 철학적 의미를 밝히는 데 치력해왔다. 다만 창암의 서예를 논할 때 문헌적 근거로 삼는 서론들을 변별하지 않음으로써 그 진의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아쉬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존중하면서, 창암 서론의 구조적 체계에 주목하고 거기에 나타난 중요한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예술관과 궁극적 지향점을 재검토하였다.

    영어초록

    Organized by Jeonju MBC in July, 1988, “Exhibition of Autographs of Deceased Changam Lee Sam-Man” was meaningful for shedding light on his calligraphy. Published at the same time as the exhibition, Book of Changam's Autographs introduced his life, his original works, and explanations for his works and built a foundation to figure out the world of his art.
    Since then, growing interest in the calligrapher has led to the continuous excavation of his scrapbooks, which helped to confirm that he had his own systematic calligraphy theory along with his calligraphy works. That is, the research conditions were met to shed total light on his aesthetics and values as well as his works as an artist.
    One would find structural systemicity of some sort while reading the theories on his calligraphy. One is his learning theory to transmit his technique of calligraphy, and the other is his art theory to figure out the technique himself and reach his own level. He developed a learning theory of mentioning the principles that he learned systematically for his pupils on the one hand and reflected on the values of calligraphy and the ultimate goals of art in relation to his own life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principles, the former case emphasizes old traditional principles, whereas the latter highlights absence of principles that transcend principles. The old traditional principles represent the standards of calligraphy study that have been demonstrated historically and present an essential course that should be mastered by anyone who studies calligraphy. The level of absence of principles presents the ideal world of a calligrapher and artist that learned principles himself and reached his own level, transcending all principles to have a good time himself and enjoy freedom to his heart's content. That is, his goal was to practice absence of principles through their presence.
    A close look at the sentences in his writings and scrapbooks will help to highlight his own elation and differentiation. Previous studies focused on figuring out philosophical meanings in his calligraphy theory while examining his calligraphy works. They, however, did not consider the calligraphy theory as a literature ground to discuss his calligraphy works and accordingly failed to figure out his real intentions. Respec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the present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tructural systemicity of his calligraphy theory, analyzed its crucial characteristics, and thus reviewed again his view of art and ultimate intention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