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굴’ 패러다임과 석굴암 (Seokguram and a ‘Cave Temple’ Paradig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08.08
32P 미리보기
‘석굴’ 패러다임과 석굴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2권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강희정

    초록

    석굴암을 둘러싼 논의 중, 전파론에 입각해 ‘석굴사원으로서의 석굴암’을 중시하는 입장을 ‘석굴’ 패러다임으로 규정하고, 1910-1920년대를 중심으로 패러다임의 형성 과정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오카쿠라 덴신 이후, 일본에서는 ‘일본은 아시아 미술의 보물창고’라고 믿었기 때문에 일본에 전해진 불교와 그 미술이 위대할수록 일본의 ‘현재’는 위대한 것이라고 강변했다. 석굴사원이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미술의 중요한 형식이라는 점에서 석굴을 강조할수록 인도 미술과의 친연성이 분명해진다고 생각했고, 일본이 불교미술의 정수를 계승했다고 주장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일본에 전해진 조선 불교미술의 정점을 석굴사원 석굴암에 두는 것은 당시 일본학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석굴’ 패러다임은 전파론에 입각하여 불교미술을 설명할 수 있는 인식틀을 제공했다. 석굴의 평면을 비교하여 석굴암의 원형을 구하는 방식은 현재까지도 진행되는 연구의 중요한 갈래이다. 석굴 유형 위주의 접근은 예배 공간으로서 석굴사원 내에서 거행되었을 의식이나 신앙의 내용까지 담보하기 어렵다. 석굴암 전체에서 보이는 독창성은 인도 석굴의 평면과 중국의 唐代 조각 어느 한 쪽에서의 영향으로 설명하기 어렵게 한다.
    연구사적 검토의 일환인 본고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이 성립될 수 있었던 기반을 되짚어 보았다. 석굴암 연구는 근대에 형성된 석굴 패러다임에서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패러다임의 기반에 대한 성찰은 석굴암을 둘러싼 담론의 형성 과정과 학문적 전제들이 구축된 과정을 점검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 작업이다. 석굴암 연구의 토대를 검토하는 일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한 채 당연시했던 문제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생각해 볼 기회를 줄 것이다. 석굴암이 근대적으로 발견되어 한 세기가 흐른 만큼 역사적․미술사적 개념들을 객관화하고, 전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와 그것을 가능케 했던 패러다임을 틀 밖에서 들여다봄으로써 석굴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eokguram, one of the most famous work of arts in Korea, has been regarded as a cave temple like the Ajanta cave in India. Concerning the Seokguram, Koreans have thought of the monument as a cave temple. However Seokguram was actually built with lots of stones. At this point, it is different from any other cave temples in India, Central Asia, and China. Many people still incline to think Seokguram to be a cave rather than an architecture. Since the cave temples of India were created by cutting off from the surfaces of rocks, the way of constructing between Indian caves and Seokguram was totally different. Most of the people think Seokguram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cave temples of India like Ajanta. Including the scholarly approaches, it is more emphasized that Seokguram is a cave temple like an Indian counterpart. This idea has a long history back to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Japanese imperialists rediscovered Seokguram, Japanese scholars made the theory that the structure and idea of Seokguram as a cave originated from India. They compared Seokguram with Chinese cave temples such as Yun-gang, Lung-men and Tienlung- shan, which had been also rediscovered during those periods. It seems clear that the rediscovery of Seokguram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world-wide rediscoveries of cave temples.
    When a few Japanese scholars insisted that Seokguram was the one of three treasures in Asia, many people agreed. Japanese argued that they possessed the core of Asian culture including Buddhism and Buddhist Arts. They made Seokguram one of the greatest cave temple sites, which had been transmitted to Korea from India through the Silk Road, in the East. Japanese knew almost all their ancient arts came from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y thought the more brilliant the Buddhist arts in Korea were considered, the more highly valued the Japanese Buddhist arts would have been. So they made propaganda for Seokguram to be an orthodox cave temple which had followed Indian cave temple tradition. This idea about Seokguram, based upon the cave temple theory, has influenced both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It did not take a long time for the theory to become a ‘Paradigm for Seokguram’. Even if it is one of the oldest architectural structure, not a rock-cut cave, people do not take the disparity between the two types of structure seriously. Under the paradigm, people would not be able to entirely recogniz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okgu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