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Groome의 ‘Sharing Faith’에 나타난 ‘앎’에 대한 철학적 논의 (Philosophical Discussion of ‘Knowing’ in Thomas H. Groome's ‘Sharing Faith’)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7.09
35P 미리보기
Groome의 ‘Sharing Faith’에 나타난 ‘앎’에 대한 철학적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정보 / 54호 / 309 ~ 343페이지
    · 저자명 : 한미라, 전예령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그룸의 두 번째 저서 “Sharing Faith”에 나타난 ‘앎’(Knowing)의 방식에 관한 철학적 기반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그룸이 영미권의 학자이므로 그가 인용하고 있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2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과 근대 유럽 철학자 2인(데카르트와 칸트)의 인식론을 조사하고 각 인식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룸이 그 이론들을 어떻게 비판 또는 수용하고 있는 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그룸이 자신의 각 이론들의 비판과 수용들이 어떻게 나눔의 프락시스 교육론에서 접목되었는지를 찾아내어 설명하였다. 주요 발견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기독교 신앙교육에서 프락시스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프락시스는 이론의 반대어가 아니다. 프락시스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선 플라톤의 아남네시스의 개념을 이해해야한다. 이 개념으로부터 그룸은 존재에 대한 기억을 상기하였다. 이것은 그의 프락시스 방법에서 사람들의 현재 삶을 명명할 때 적용되는 인식의 방식인 기억으로 재수정되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세 가지 삶의 방식을 통전하여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를 알고, 그것을 자신의 삶에 도입하며, 마지막에는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자신의 책임을 결단하는 것까지, 즉, 앎과 삶이 하나로 통전되는 교육방법을 그룸은 나눔의 프락시스 교육론에서 새롭게 재구성하였다. 그러므로 그룸이 사용하는 프락시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세 가지 삶의 방식에서 유래한 것으로 “존재”에 대한 통전적 이해이다. 우리가 처한 시간과 장소에서의 우리 존재의 역사적 의식과 현실에서의 “프락시스(praxis, 실천)”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이 논문을 준비할 때 두 연구자의 질문은 “그룸의 프락시스는 어떤 인식론적 철학적 배경을 갖고 있을 까?”이었다. 이 연구의 두 연구자는 자신들의 질문에 답을 찾아 가며 자신들이 누군지, 관심이 무엇인지, 기억과 분석과, 창조적 상상을 하면서 프락시스의 개념을 탐구하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 것 같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at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knowing’ in Thomas H. Groome's second book, "Sharing faith" is. Since Groome is a western scholar, we examined the epistemology of two ancient Greek philosophers (Plato and Aristotle) and two modern European philosophers (Descartes and Kant), and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epistemology. And discussed how Groome criticizes or accepts those theories.
    In addition, Groome found out how critics and receptions of these theories were incorporated into his theory of Shared praxis approach to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Praxis is a key concept in Groome’s Sharing Faith. Praxis is not the opposite of theor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raxis, we must understand the concept of Plato's Anamnesis. From this concept, Groome recalled it as the memory of existence. This was reassessed in his epistemology of existence, which is the way of recognition applied when naming people's present lives.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te the three types of knowing by Aristotle; to know God's Word and revelation, to apply it into his life, and finally to commit his own responsibility to carry it out, that is, which has been reconstructed from Shared praxis approach to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by Thomas H. Groome.
    Therefore, the praxis used by Groome is derived from the three ways of knowing by Aristotle, which can b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being.” It can be defined as "praxis" 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reality of our existence at the time and place that we are in.
    In preparing this paper, the two researchers' questions were "What epistemolog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do Groome's praxis have?" The two researchers in this study seem to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y are searching for answers to their questions, exploring the concepts of who they are, what they are interested in, memory, analysis, and creative imag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정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