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소의 법적 요건에 관한 소고 - 국민신문고 민원인의 알 권리에 관한 국가인권위원회 결정사례를 중심으로 - (A Review of Legal Requirements for Criminal Complaint - Focusing o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Decision Case on Right to Know in Korean Civil Petition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4.11
39P 미리보기
고소의 법적 요건에 관한 소고 - 국민신문고 민원인의 알 권리에 관한 국가인권위원회 결정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이론실무연구 / 12권 / 4호 / 581 ~ 619페이지
    · 저자명 : 박봉균

    초록

    최근 수사준칙(대통령령)이 개정ㆍ시행되었다. 주요 개정내용은 고소장을 접수한 경우 반려하지 않고 모두 수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범죄피해자의 권리보호와 고소남용의 억제 사이에서 조화를 모색하고자, 경찰수사규칙(행정안전부령)이 개정되었고, 고소사건과 유사하게 처리되던 국민신문고 처리 절차도 개편되었다.
    고소 접수에 관한 경찰청 정책 변경의 상황에서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라고 한다)는 경찰이 국민신문고 신고사건을 조사한 후 결과통지를 하지 않았으므로 경찰수사규칙을 위반하였고, 진정인의 알 권리를 침해하였다는 이유로 인권침해 결정하였다.
    인권위 결정에 대하여 의문이 있다. 첫째, 고소사건의 수사결과 통지와 관계되는 기본권은 알 권리인가? 둘째, 국민신문고에 온라인 민원제출과 수사기관에 고소장 제출을 형사소송법상 동일하게 평가할 수 있는가? 본 논문 2장에서 개인에 대한 국가의 정보공개 차원에서 알 권리를 고찰하였다. 3장에서 범죄피해자의 보호차원에서 고소의 요건을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인권위의 결정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법이론과 상당히 거리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 알 권리는 자유권적 기본권으로서 대국가적 방어권의 성격이 있다. 따라서 알 권리로부터 일반적 정보공개청구권을 도출할 수 없고, 개별적 정보공개청구권의 인정 여부는 진정인의 진정권 침해를 검토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둘째, 고소는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는 법률행위이다. 따라서 국민신문고 온라인 민원은 고소의 방식을 위반하였으므로 고소의 성립요건이 충족되지 않는다. 또한 수사기관에 대하여 의사표시를 하지 않았으므로 고소 또는 진정의 법적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국민신문고 조사결과 통지행위에 경찰수사규칙을 적용할 수 없다.

    영어초록

    The Investigation Guidelines (Presidential Decree) were recently revised and implemented. The main revision is that all complaints will be accepted without rejection. Accordingly, in order to find harmony between protecting the rights of crime victims and suppressing the abuse of complaints, the Police Investigation Rules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were revised, and the National Petition Processing Procedure, which was processed similarly to complaints, was also reorganized.
    In the context of the change in the National Police Agency’s policy on receiving complaint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HRC”) decided that the police violated the Police Investigation Rules and violated the complainant’s right to know by notifying the results after investigating the NHRC report case.
    There are questions about the NHRC’s decision. First, is the fundamental right related to the notification of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a complaint a right to know? Second, can online Civil Petitions submitted to the NHRC and complaints submitted to investigative agencies be evaluated equally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Chapter 2 of this paper, the right to know is examined in terms of the state’s disclosure of information to individuals.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requirements for filing a complaint in terms of protecting crime victim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we found that the decision of the NHRC is quite far from legal theor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right to know is a fundamental right of freedom and has the nature of a right of national defense. Therefore, a general right to request information disclosure cannot be derived from the right to know, and it is sufficient to examine the violation of the complainant's right to file a complaint to determine whether an individual right to request information disclosure is recognized. Second, a complaint is a legal act that involves an expression of intent. Therefore, the online complaint of the Korean Civil Petitions violates the method of filing a complaint, so the requirements for filing a complaint are not satisfied. In addition, since no expression of intent was made to the investigation agency, the legal effect of a complaint or complaint does not occur. Therefore, the Police Investigation Rules cannot be applied to the notification of the Korean Civil Petitions investigation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이론실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