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혈통을 알 권리에 대한 유럽인권법원 판결의 동향 (Trends in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ruling on the Right to know one’s origi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5
40P 미리보기
혈통을 알 권리에 대한 유럽인권법원 판결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59권 / 197 ~ 236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장시간의 논의 끝에 출생통보제와 보호출산제도가 법제화되었다. 보호출산법은 의료기관에서 위기임부의 비식별화된 가명과 관리번호로 출생통보를 하도록 하는 한편 아동권리보장원에 출생증서를 보관하여 출생한 아동의 청구가 있을 때는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위기임부의 완전한 익명을 보장하지 않고 있어 보호출산제의 실효성에 의문이 있고, 친생모의 동의 없이는 완전한 공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아동의 알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다. 보호출산아동의 가족관계등록부에 친생부모의 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사후의 정보공개청구 또한 제한적이기에 자녀의 알 권리가 침해될 여지가 있는데, 이것은 보호출산제와 같은 취지의 제도를 도입한 모든 국가에서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이기도 하다. 출생정보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법자는 자녀가 출생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여야 할 것이며, 이때 익명을 유지할 친생모의 권리와 자녀의 “혈통을 알 권리” 간의 형평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익명출산을 제도적으로 인정한 유럽 여러 국가에서는 친생모가 신원의 익명을 유지한 채 출산한 자녀의 알 권리와 관련된 논의가 일찍부터 진행되었다. 유럽인권법원에서는 익명출산으로 태어났거나 입양된 자가 친생모 또는 친생부를 알고자 하였으나 좌절된 사건에서 유럽인권협약 제8조의 위반여부를 판단하여 왔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제정된 보호출산제에서 출생증서의 작성 및 공개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혈통을 알 권리”에 관한 유럽법원의 최근 주요 판결을 검토하여 보호출산제 도입 후의 문제에 대비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After a long discussion, the birth registration system and the Anonymous Childbirth System have been legislated, but discussions on the pros and cons of existing issues are still expected to remain parallel for the time being. Above all, the problem is that the child's right to know is violated because the information of the biological parents is not recorded in the family relationship register of the child, and the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is limited. This is also a task that has not been completely resolved in all countries that have introduced similar legal systems. However, there are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nonymous Childbirth System as it does not guarantee full anonymity of crisis pregnant women, and it is unclear whether children's right to know will be guaranteed in that the full disclosure of birth certificates is not made without the consent of their biological mothers and biological fathers. Prior to the enforcement of the law, the presidential decree should specifically determine how to confirm the consent of the president of the Children's Rights and the reasons for disclosing the birth certificate regardless of the consent of the biological mother and biological father. Legislators should guarantee children's right to access birth information to a certain extent, and at this time, equity between the right of the biological mother to remain anonymous and the right to know the pedigree of the child must be considered.
    In European countries that have systematically recognized anonymous births, discussions have been held early on regarding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know one’s origin" of those born with the biological mother remaining anonymous.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as judged whether a person born or adopted by anonymous childbirth violated Article 8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in a frustrated case that attempted to know the biological mother or biological father.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preparation and disclosure of birth certificates in the recently enacted protective birth system and reviewed the European Court's recent major rulings on the "Right to know one’s origin" to find ways to prepare for problem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rotective birth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