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이라는 난점(2) ― 안확의 1910~20년대 조선어 연구를 중심으로 (Difficulties in linguistics as a Science (2) ― Focused on An-hwak’s Language Study in the 1910s to 1920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6
25P 미리보기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이라는 난점(2) ― 안확의 1910~20년대 조선어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91호 / 161 ~ 185페이지
    · 저자명 : 김병문

    초록

    조선어 연구를 과학적 방법론으로 정착시키려고 했던 노력은 꽤 이른 시기부터 발견되는데, 특히 1920~30년대에 벌어진 여러 가지 표기법 관련 논쟁에서 상대의 논리를 ‘비과학적’이라고 비난하고 과학적 언어 연구란 바로 이런 것이라고 주장하는 대목에서 그러한 경향이 잘 드러난다. 그런데 이러한 논쟁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1926~27년 사이에 『동광』지에서 벌어진 자산 안확과 주시경 제자들 간의 논전이다. 안확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언어는 물론이고 문학, 정치, 음악, 무술 등 각 방면에서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피력한 ‘국학자’인데, 그는 특히 꽤 이른 시기부터 주시경의 학설을 줄곧 비판해 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주시경에 대한 안확의 이러한 문제제기는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학이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이른바 메타언어학적 쟁점이 형성되는 데 기여했고 당대의 조선어 연구에도 일정한 자극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동광』지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을 주장한 안확의 조선어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과연 무엇이었으며 그것에 내재하고 있는 난점, 즉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이 처한 곤란함은 어떠한 것인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efforts to establish the study of Korean with a scientific methodology was discovered from a fairly early age. Specially in the argument relating with various notations that happened in the 1920s to 1930s, such efforts were well exposed where criticising their partners for their ‘unscientific’ reasoning and asserting that scientific language studies were exactly what they were studying. Among these arguments, the typical example showing this is that the dispute between Jasan An Hwak and the disciples of Ju Si-gyeong in the DongKwang paper in the 1926 to 1927. An-Hwak is a well-known classical scholar of the country expressing his own unique opinions on various directions of not only language, but also literature, politics, music, arts and etc. And he is also famous for constantly criticizing the theory of Ju Si-gyeong from fairly early times. An-Hwak’s raising questions like this contributed to forming so called meta-linguistical issues covering ‘What is language?’, ‘What the Linguistics should be?’ and it appeared to have stimulated the studies of Korean in those days. In this study, with the focus of argements in the DongKwang paper, we want to review what ultimate direction the study of Korean by An Hwank who asserted ‘Linguistics as a Science’ was really headed for and what were the Difficulties existing ins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