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오시마의 특성을 고려한 안도 다다오의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hibition Space of Ando Tada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aoshim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8.08
12P 미리보기
나오시마의 특성을 고려한 안도 다다오의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4호 / 143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민정, 이종협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주목받지 못했던 나오시마의 자연환경은 장소성을 살려 공간을 구성하는 안도 다다오에 의해 드러나게 된다. 안도는 나오시마의 주요 건축가로, 박물관의 설계에 있어 지역적 모더니즘에 근거한 그의 건축철학에 철저하게 기초하면서도 박물관 건축에서 상식적인 공간 구성과는 다른 특이점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자신의 전시공간을 통해 훼손되었던 장소를 다시 돌아보고, 풍경을 건축물에서 배제하기보다 오히려 강조하면서 예술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공간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오시마를 현재와 같이 재생시키는 데에는 안도 다다오의 사상이 자연스레 녹아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총체적인 상황에 의해 공간을 구성하며 자연과 건축물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성에 따라 나오시마에 위치한 그의 전시공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나오시마에 위치한 안도 다다오의 미술관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사례들을 통해 자연적 특성과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성격의 상호연관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나오시마 프로젝트에 대한 각종 자료를 통해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배경과 그 특징들에 대해 파악하고, 그 곳에 위치한 안도 다다오의 건축물들에 대해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이 둘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각 사례를 전시공간의 외부와 내부, 그리고 작품과의 관계에 따른 공간 구성에 대해 구분하여 분석하기 위해 건축물, 공간, 작품과의 관계로 항목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건축물은 지하건축, 좁은 진입, 풍경으로 분류되었고, 공간은 작품에 의한 공간, 공간 내 자연의 유입에 따라 항목을 나누어 서술할 수 있다. 또한 작품에 있어 장소특정적 미술과 공간, 예술, 관객의 일체화로 그 항목을 구분하였다. 또한 건축물, 공간, 작품에 따른 분석 내용을 표로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결론) 나오시마에 놓인 안도 다다오의 전시공간들은 지역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공간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물로 나타난다. 또한 각 전시공간이 가진 작품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사례의 건축물들은 작품과 관객의 만남을 주선하고 더 나아가 공간과 예술, 관객과의 일체화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자연과 건축물의 조화를 중시하며 장소성을 강조하는 안도의 설계 방식은 나오시마의 풍경을 보존하고 지역을 재생시키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natural environment of Naoshima, which had not been noticed, is revealed by Ando Tadao, who uses space to make space. Ando is the main architect of Naoshima, and his work is based on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based on local modernism in design of the museum. However, it also shows distinctive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common sense spatial composition in museum construction. He looked back at the place that was damaged, through his exhibition space, and created a space where art and nature blend together, rather than emphasizing scenery from buildings. From this point of view, I think that the idea of Ando will naturally dissolve in reviving Naoshima as it is now. Therefore, in this paper, we want to study his exhibition space in Naoshima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Ando, who is trying to achieve harmony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which constitutes space by overall situa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museum of Ando located in Naoshima was selected as an example. Through these selected examples, we present the interrelation of natural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Ando’s work. To do this, we first grasp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oshima project through various material about the Naoshima project, as well as the research data and the partial exploration of the buildings of Ando. (Results) In order to classify each case into the spa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works, the items were divided into the relation with the structure, space, and work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classified as underground architecture, narrow entrance, and landscape. Space was divided into items according to the space of works and the inflow of nature into space. In addition, the works were divided into space-specific art, space, art, and audience.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architecture, space, and works, are listed in the table. (Conclusions) The exhibition spaces of Ando Tadao, located in Naoshima, appear as buildings that harmonize with nature, when the space situation is considered on the basis of lo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of each exhibition space, the architectural examples of the cases arrange the meeting between the works and the audience, and further integrate with the space, the art, and the audi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sign method of Ando that emphasizes the harmony of nature and architecture, and emphasizes the property of place has an important effect on preserving the scenery of Naoshima and regenerating the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