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저임금법」 개정의 주요 쟁점과 과제 - 법률안의 분석을 중심으로 (Die hauptsächliche Debatte um die Änderung des Mindestlohngesetzes, insbesondere die Analyse von Gesetzentwürf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7.11
46P 미리보기
「최저임금법」 개정의 주요 쟁점과 과제 - 법률안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노동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노동법포럼 / 22호 / 23 ~ 68페이지
    · 저자명 : 한인상

    초록

    최저임금제도는 저임금 근로자의 임금을 보호하고 임금격차를 완화하여 소득분배 개선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국가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최저임금 수준을 결정하고 사용자가 이를 하회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최저임금법」은 1987년 제정된 이후, 몇 차례 개정을 거쳐 왔지만, 주요한 내용의 개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저임금제도의 주요 내용을 개정하려는 입법적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최저임금제도가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제기되었던 「최저임금법」 개정의 주요 쟁점은, ① 최저임금제의 적용 범위 확대, ② 최저임금의 결정 체제의 개편, ③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 법정화, ④ 최저임금제의 실효성 확보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최저임금제도는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만큼 제도적 개선 논의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최저임금제도 개선을 위한 법률안의 주요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입법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우선 최저임금제도는 기본적으로 저임금근로자의 임금 보호와 소득분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도적 사각지대(가사사용인, 장애인근로자, 수습근로자)를 해소하기 위한 적용 범위의 확대 문제는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제도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최저임금의 결정 과정(도구 또는 기준, 자료, 주체 등)은 투명성, 명확성, 독립성, 책임성 등에서 미흡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최저임금 결정체제(방식, 주체, 기준, 지표)의 변경 문제는 현행 결정체제의 장·단점과 한계에 대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하다. 우선 최저임금 결정 기준과 지표 문제는 준거 지표 추가뿐만 아니라 생계비 등 기준을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저임금 결정 방식은 다양할 수 있고, 각 방식마다 장·단점이 있다는 점에서 결정 방식 또는 주체의 변경 문제는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다만 현행 결정 방식과 심의·의결 주체를 유지한다면, 심의·의결 주체인 최저임금위원회의 구성 방식에 있어서 책임성,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최저임금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최저임금의 적정성 확보와 현실화는 중요한 쟁점이다.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을 법정화하는 문제는 그 경직성에 대한 비판이 있고, 어떠한 기준으로 적정선을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는 점에서 좀 더 섬세한 기준 제시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최저임금제도의 개선 또는 최저임금의 현실화에도 불구하고 최저임금제도가 실효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면, 그 입법효과는 거의 없다. 따라서 최저임금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시된 악의적·상습적인 「최저임금법」 위반 사용자에 대한 제재 강화로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또는 법정 배상명령) 또는 명단공개제도의 도입 등은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겠다. 다만 이 경우 과도한 제재(이중처벌금지 및 비례의 원칙)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요건을 설정함에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최저임금 위반에 대한 철저한 사업장 근로감독과 신고사건에 대한 신속한 처리 등 엄정한 법 집행과 적용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Das Mindestlohnsystem hat einen großen Einfluss auf die Sozial und Wirtschaft. Daher wurden die Diskussionen zur Verbesserung des Mindestlohnsystems und zur Revision des Gesetzes fortgesetzt. Darüber hinaus wurden die mehrere Entwürfe von Mindestlohngesetz eingeleitet. Dieser Artikel hat sie kritisch überprüft und die Richtung und Aufgabe der Gesetzgebung dargelegt.
    Es gab mehrere gesetzgeberische Versuche, den Hauptinhalt des Mindestlohnsystems zu überarbeiten. Die Hauptthemen des bisher vorgeschlagenen Mindestlohngesetzentwurfes werden wie folgt zusammengefasst: Erweiterung des Geltungsbereichs des Mindestlohngesetzes, Änderung des Systems von Mindestlohnbeschluss, Gesetzgebung einer Vorschrift von dem angemessenen Mindestlohnsniveau, Gewährleistung der Verbindlichkeit des Mindestlohngesetzes.
    Der Mindestlohn ist das niedrigste Lohnniveau in Beschäftigung und sollte daher für alle Arbeitnehmer allgemein gelten. Zunächst ist es notwendig, die Abdeckung des Mindestlohngesetzes zu erweitern, indem die Ausschlussklausel für Haushälter und behinderte Arbeitnehmer beseitigt wird. Jedoch sollten Nebenwirkungen, die dadurch verursacht werden, ebenfalls berücksichtigt werden.
    Bisher wurde immer wieder kritisiert, dass der Prozess des Mindestlohnbeschlusses (Indikator, Daten, Gegenstand, usw.) unzureichend in Bezug auf Transparenz, Klarheit, Unabhängigkeit und Verantwortlichkeit ist. Die Änderung des Systems von Mindestlohnbeschluss sollte jedoch sorgfältig überprüft werden, weil jede Beschlussmethode Vor- und Nachteile hat und der Einfluss des Systemwechsels groß ist. Es ist jedoch notwendig, den Indikator für Mindestlohnbeschluss zu klären und die Verantwortung der Mindestlohnkommisson zu stärken.
    Es ist wichtig, angemessene Mindestlöhne zu gewährleisten. Bei der konkreten Festlegung des Mindestlohnniveaus im Gesetz ist jedoch Vorsicht geboten, da Kritik an der Starrheit geübt wird. Damit das Mindestlohnsystem effektiv funktioniert, muss die Verbindlichkeit des Mindestlohngesetzes erhöht werden. Vor kurzem wurde eine Gesetzesvorlage eingeführt, um die Bestrafung von Arbeitgebern zu stärken, die gegen das Mindestlohngesetz bösartig verstoßen haben. Die verschiedene Diskussionen wurden zu diesem Zweck gemacht. Dies sollte auch im Gesetzgebungsverfahren gemeinsam betrachtet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동법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