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丁若鏞의 井田制論과兵農一致的 軍制改革案 (Jeong Yakyong’s Discussion of the Well Land System and His Military Reform Plan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12
40P 미리보기
丁若鏞의 井田制論과兵農一致的 軍制改革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9호 / 251 ~ 290페이지
    · 저자명 : 엄기석

    초록

    19세기 초반 茶山 丁若鏞은 토지와 직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 기관의 정상화를 위한 개혁안을 『經世遺表』에 서술하였다. 그 중에는 군사 제도의 개혁안도 포함되어 있는데 다른 정약용의 사회경제 관련 개혁안과 마찬가지로 井田制를 기반으로 한 내용이었다.
    정약용이 제시한 정전제론에 따라서 군역을 부과할 경우 정전제의 원리적인 형태대로 1부당 1명을 징발한다는 방식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토지의 소유 형태가 제각각이었으므로 균등한 토지의 배분과 그에 따른 군역의 부과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정약용은 方田法과 魚鱗圖가 결합된 형태의 토지 대장을 활용하여 사적 소유가 인정되는 토지 위에서 정전의 원리에 맞춘 군사 선발의 방식을 고안하였다. 동원된 군사는 정전제에 따라서 군사 조직으로 편제되는데 이는 兵農一致의 모습을 구현한 것으로 128명을 단위로 하여 행정과 군사 조직을 일치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적인 토지 소유를 인정한 정전제에서는 국가의 토지 지급이 선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가 군역을 부과할 명분이 없었다. 이 때문에 정약용은 중앙과 지방에 屯田을 조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군사 제도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정약용은 정전제와 둔전의 활용을 통하여 군사 재정이 안정화되었다면 군사 조직에 대한 개혁 역시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정약용의 군제 개혁에 대한 목표는 군사력의 정상화였다. 이를 위하여 그가 주장한 내용을 살펴보면 중앙군은 둔전을 매개로 편성되며 3군영 체제로 개편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규모는 총 1만 명 정도였으며, 1년에 3개월 정도를 군역에 종사하고 나머지는 둔전을 경작하는 병농일치적 형태였다. 지방의 군사적 거점에도 둔전을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하는 屯田軍이 조직하고자 하였는데 이들의 규모는 구체적이지 않으나 약 6만 5천 명 정도로 추정해 볼 수 있고, 군역의 양은 중앙군보다 약하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정전제를 통하여 편성하고자 하였던 井田軍도 지방군의 일원이었으나, 이들에게는 실제 군사력을 기대하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정약용의 군사제도 개혁안의 특징은 이상적인 정전제를 지향하면서도 이를 보조하고 실제 개혁을 위한 三代 이후의 제도인 어린도나 속오법 등을 채택하여 현실성을 부여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정약용의 개혁안이 병농일치와 같은 과거의 제도를 지향하였다고 해서 비현실적이고, 비합리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당시에는 실용성을 강조하기보다 古制의 실현이 올바른 가치 판단이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early 19th century, Jeong Yakyong suggested various reform plans in his book Kyeongseyupyo for the land taxation and service imposition and for the state organizations. His military reformation proposal which is based on the well land system(井田制, the system of dividing land into nine parts) is also written in the book.
    The problem is that it was not easy to apply regulations for an equal distribution of workforce, one labor worker per one prefecture, according to an old land register. So he suggested a collaborative use of the fish-scale map book (魚鱗圖) and the square land system (方田法). Drafted farmers were put in military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well land system. However, since the farming land is not given to farmers by the government according to Jeong Yakyong’s well land system, there wasn’t any mean to justify the imposition of military duty.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he planned to organize military units on the basis of the military colony land.
    After Military finance is stabilized through the well land and military colony land systems, military organizations would be reformed. Jeong Yakyong planned to re-organize capital army into three commands of ten thousand soldiers. Provincial army is assumed to be around sixty five thousand soldiers.
    Jeong Yakyong aimed to normalize the disorganized military system at the time with his reform plans. Even though he discussed to accept the ‘ideal’ well land system, he suggested practical solutions at the same time such as accepting the fish-scale map book or organizing commands of commoner and slave army. This contradicting attitude of Jeong Yakyong toward ideal old institutions and existing issues could be said as another feature of his reform pl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