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인 여성 야스다 야스코(安田靖子)의 대조선 인식 (Japanese woman Yasuda Yasuko’s Perception of Chosu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0.06
37P 미리보기
일본인 여성 야스다 야스코(安田靖子)의 대조선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12호 / 151 ~ 187페이지
    · 저자명 : 스가와라 유리

    초록

    본 논문은 대한제국 시절에 조선에 건너와서 3년 6개월 거주했던 일본인 여성 저널리스트 야스다 야스코(安田靖子)의 사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당시 재조선 일본인 여성이 가졌던 대조선 인식의 일단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야스다는 조선에서 진남포와 경성에 거주하였으며 각 거주지에서 현지 상황을 전하는 기고문을 연재하였다. 진남포 시절에는 「진남포에서(鎭南浦より)」 등을 『부녀신문(婦女新聞)』에 연재하여 현지 생활과 조선인의 풍습을 통해 일본 독자들에게 조선의 실정을 바르고 정확하게 소개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경성 시절에는 진남포 시절과 달리 현지의 상황을 전하는 내용보다는 수필이 많았다. 이들 가운데 「한국절참배(韓寺詣)」와 「한국초혼제(韓國招魂祭)」에는 조선인과 교류하려고 노력했던 흔적이 엿보인다. 이는 야스다가 조선생활에 익숙해져 현지 조선의 풍습과 조선인과의 교류에도 이전 시기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자세를 보인 것이다. 또 일본 여성으로서의 자세와 기개를 바르게 갖는 것을 강조하는데 역점을 두기도 하였다.
    야스다의 조선 체류 동안의 기고문은 당시 일본에 있던 일본여성 독자들에게 현지 생활에 대한 현장감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데 큰 몫을 하였다.
    야스다의 재조선 인식은 당시 일본 정부의 대외정책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동시에 그녀가 선택한 언론매체인 『부녀신문』의 간행목적이나 편집방향 등의 성격과도 일치하고 있다. 야스다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배경 아래 자신이 갖고 있던 문필가로서의 능력과 조선에 거주하고 있다는 상황을 조합하여, 『부녀신문』을 통해 자신의 인식을 세상에 발표하였다. 그 글들은 결과적으로 일본정부의 방침에 충실하게 부합된 것이었다.
    야스다의 20세기 초반 조선 거주 체험과 그와 관련된 기고문 그리고 이를 통해서 드러난 그녀의 대조선 인식은 그 시대의 일본인들이 쉽게 빠져들었던 삶의 한 전형을 보여주었다. 이는 당시 일본 정부가 추구했던 제국주의적 팽창전략에 대한 무비판적인 동조와 자발적인 기여 및 그에 대한 과도한 자부심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explain a part of how Japanese women living in Korea perceived Korea by analyzing the case of Japanese woman Yasuda Yasuko (安田靖子)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period of of the Daehan Empire and lived in the country for 3 years and 6 months.
    While residing in Jinnampo and Gyeongseong in Chosun, Yasuda contributed a series of articles reporting local situations of the place where she was staying. During the days in Jinnampo, she wrote about local life and Korean people’s customs and published them in Women’s News under the title “In Jinnampo,” and in the writings she focused on informing Japanese readers of Korean situations correctly and accurately. Different from the period in Jinnampo, while staying in Gyeongseong, she wrote more essays than reports on local situations. Among the essays, “Korean people’s temple worship” and “Memorial services in Korea” suggest traces of her efforts to exchange with Koreans. As she was accustomed to Korean life, Yasuda showed an active attitude toward Korean local customs and association with Koreans compared to other Japanese before her. She also emphasized that Japanese women should have a right attitude and spirit as the citizens of Japan.
    Her contributions written on her experiences during her stay in Chosun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Japanese female readers in Japan to get realistic contents and information on local life.
    It was found that Yasuda’s perception of Chosun was consistent with the Japanese government’s direction of foreign policies. At the same time, it agreed with the purpose and editorial direction of Women’s News, the medium that she chose. Her writings out of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background of the days, her abilities in writing, and her experiences in Chosun were published in Women’s News, and they were faithful to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Yasuda Yasuko’s stay in Kore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her contributions written on her experiences, and her perception of Chosun revealed in the writings show a typical life that Japanese in those days fell in easily. It was uncritical conformity with, voluntary contribution to, and excessive pride in the Japanese government’s cruel strategy for imperial expa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