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호법 제정안의 헌법적 의미와 입법과제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legislative tasks of the Nursing Act enactmen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2
31P 미리보기
간호법 제정안의 헌법적 의미와 입법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102호 / 71 ~ 101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혜, 조재현

    초록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의료 및 간호 서비스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보건의료 환경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변하고 있다. 사회 환경의 변화와 예측할 수 없는 보건의료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규율체계의 변화가 요구된다. 그 때문에 간호영역을 독자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간호법 제정에 대한 사회적 아젠다가 꾸준히 형성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코로나19를 계기로 독립된 간호법의 제정 움직임이 다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간호법 수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으나, 대통령이 법안에 대하여 거부권을 행사함으로써 간호법안은 결국 부결되었다. 2023. 11. 22. 새로운 간호법안이 다시 발의되면서 간호법 제정 움직임이 다시 재점화되고 있다. 간호법 제정에 관한 논쟁은 외견상으로는 ‘독립’ 또는 ‘단독’의 간호법 제정을 반대하는 것이지만, 그 실질은 ‘간호업무’의 확대를 반대하는 것이다. 간호법의 제정을 두고 보건의료 인력 상호간에 대립과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간호법 제정을 둘러싼 논쟁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국민의 건강권과 보건권이다. 국민의 건강권이 보장되고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이 증진될 수 있다면 의료인들의 직업적 이익은 후퇴되는 것이 당연하다. 특정 집단의 이익이 아닌 국민의 건강권이나 보건권의 차원에서 간호법 제정에 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역할과 지위, 의료시장에서의 의료행위의 개념 등을 먼저 명확하게 입법적으로 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법의 제정이나 통과보다 입법적 과제의 해결이 우선이다. 우선적 입법과제는 개별 의료인이 수행할 수 있는 의료영역에 대한 명확한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적 가치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에게 인정되는 의료영역을 명확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간호법의 제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되는 의사와 간호사의 업무영역에 대한 다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 현행 의료법 체계를 흔들지 않는다면 간호법 제정이 의료영역 간의 논쟁이나 다툼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간호법 제정의 문제는 입법원칙이나 체계의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영어초록

    As the population ages rapidly, demand for medical and nursing services is rapidly increasing.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s also changing unpredictably.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unpredictable health care environment, changes in the disciplinary system for medical services are required. For this reason, a social agenda is steadily being formed for the enactment of a nursing law that can independently regulate the nursing field. In Korea, the movement to enact an independent nursing law has recently begun to be discussed again in the wake of COVID-19. An Nursing Bill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 Nursing Bill was ultimately rejected as the President exercised his veto power over the bill. November 22, 2023. With the new nursing bill being proposed again, the movement to enact the nursing law is being reignited. The debate over the enactment of the Nursing Act is, on the surface, against the enactment of an ‘independent’ or ‘standalone’ Nursing Act, but in reality it is against the expansion of ‘nursing work.’ Confrontation and conflict among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over the enactment of the Nursing Act are reaching a peak. What must be considered first in the debate surrounding the enactment of the Nursing Act is the people's right to health and health. If the people's right to health can be guaranteed and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can be improved, it is natural that the professional interests of medical professionals will be retreated. Discussions on the enactment of nursing laws should begi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s right to health or public health, rather than the interests of specific groups.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first clearly legislatively define the role and status of nurses and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in the medical field. Resolving legislative issues takes priority over enacting or passing nursing laws. The priority legislative task is to establish a clear scope for the medical areas that individual medical practitioners can perform. In order to protect the lives and health of the people as a top priority,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medical areas recognized by medical professional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isputes over the scope of work between doctors and nurses, which are controversial surrounding the enactment of the Nursing Act, the scope of work for nurses must be clearly defined. As long as it does not shake up the current medical law system, the enactment of nursing law should not be the subject of controversy or contention between medical fields. It is sufficient to examine the issue of enacting nursing laws from the perspective of legislative principles or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