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명치료 중단 입법안에 관한 헌법적 고찰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Legislative bills Relating to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Car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09.12
28P 미리보기
연명치료 중단 입법안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38권 / 2호 / 377 ~ 404페이지
    · 저자명 : 정철

    초록

    이제 우리 사회는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통한 연명치료의 중단에 따른 사망을 법적으로 ‘자살’로 파악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이런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행사는 의사에 의한 엄격한 상담과 절차에 따른 사전의료지시서의 형태로 시행될 수 있고 이런 과정은 병원내의 자율적인 위원회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환자의 의사를 추정하는 방식에 의한 연명치료의 중단은 그 과정이 본질적으로 고도의 법적 판단과정이란 점에서 외부의 독립적인 전문위원회나 가정법원에서 이런 사건을 결정하는 것이 올바르다. 그 외의 병원 내의 자율적인 시스템에 의한 의사절차에서도 법적 이의가 제기되면 국가의 개입은 정당화되고 필요하다. 이는 국민의 재판청구권의 보장차원에서도 요구된다. 한편 연명치료의 중단이 가능한 환자와 관련하여서도 회복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범위를 시간적으로 제한하는 입장은 사실상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통한 연명치료의 중단가능성을 거의 불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 이렇게까지 환자의 범위를 축소할 것이 아니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인정하고 이를 헌법상 적법절차의 통제 하에 두어 부정확성과 오염가능성을 통제하는 방식이 헌법적으로 적합한 방식이다. 다만 연명치료를 제도화하는 입법에서 비록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통한 정당화구조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의사추정방식을 도입하는 경우 그 판단과정이 명확한 본인의 의사에 의하지 않는 이상 타인의 생명의 질(quality of life)이 제3자의 형량의 과정에서 검토되는 상황을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과정에 일반적인 생명의 보호, 자살의 예방과 같은 일반 공익적 고려 역시 판단의 사적관련성(personhood)을 고려할 때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의료자원의 합리적 분배와 같은 형량요소도 그간 논의과정에서 등장하였는데 이런 요소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의사추정을 위한 자료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이런 요소가 의료인이 주도하는 병원윤리위원회에서 의사추정이라는 관문을 통해 고려된다면 헌법이 보장하는 생명의 보호는 위협받을 수 있고 여기에 문제의 심각성이 존재한다.

    영어초록

    The Supreme Court's decision(2009. 5. 21.)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care in terminal patient is a first judgement about the possibility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care in mature, terminal patient in the absence of specific legislation on this matter.
    Regarding this matter, three legislative bills was submitted to assembly, which all justify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care by us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erminal patient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bsence of advent medical directives of patient, the Shin-Shang Jin bill allow the substituted-judgement by guardian ad litem. It is the only practical way to allow for guardian ad litem to suppose the intent of terminal patient by presenting the evidence relating the patient's wish when he is incompetent and unconscious. Therefore the bill is righteous and justifiable in th point of human dignity.
    Also the court's decision is correct because we all respect the human dignity of the terminal patient although he did not write the advent medical directives. In addition, the substituted judgement is the only way to ascertain the patient's specific intent of whether he cease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But, the bills regretably did not lay any procedural guarantee by due process of law in the course of fact-finding of patient's genuine intent, for example of evidence rule like as clear and convincing evidence standard notwithstanding there being incorrectness and possible pollution in the process of ascertaining the patient i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