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推案及鞫案』에 기록된 戊申餘黨 謀反事件의 樣相 (The Patterns of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in 『Chuangeupguka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9.10
42P 미리보기
『推案及鞫案』에 기록된 戊申餘黨 謀反事件의 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92호 / 203 ~ 244페이지
    · 저자명 : 고수연

    초록

    朝鮮 後期 英祖 4년(1728)에 일어난 戊申亂은 老論·少論·南人의 정치적 갈등이 兵亂으로 폭발한 사건이었다. 반란이 진압된 이후에도 무신란을 지지하고 표방한 ‘戊申餘黨’들은 다시 한 번 반란을 통하여 정계 복귀 내지는 정권 탈취를 위하여 謀反事件을 일으켰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중죄인의 조사서와 판결서를 모은 『推案及鞫案』을 검토하여 무신여당의 모반사건이라고 판단되는 11건을 추려내어 검토하고 그 양상을 정리하였다.
    11건의 무신여당 모반사건은 무신란 직후부터 30여 년 동안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이것은 무신란이 진압된 이후에도 상당기간 동안 무신란을 지향하는 세력이 존재하고 있었고, 그들이 무신란과 같은 반란을 시도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신여당의 모반 방식은 괘서·모의·시장 투서의 형식이었다. 掛書의 경우 民心 선동, 즉 여론의 형성이 가능하여 적극 사용되었다. 試場 投書 역시 왕과 많은 사람이 함께 모인 공개적인 과거시험장에서 흉역을 적은 시장을 왕에게 바치는 노골적인 행위로 민심을 자극하는 파급력이 있었다.
    무신여당의 인적 구성을 보면 무신란에 직접 가담했던 인물, 소론계 인물, 남인계 인물, 무신란을 모방한 다양한 계층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1728년에 일어났던 무신란은 少論 峻論과 남인이 중심이 된 사족의 반란이었지만, 이후 영조 대 무신여당의 활동에는 소론 준론과 남인은 물론 몰락한 지방의 사족이나 中人·良人 등 다양한 계층이 가담함으로써 무신란에 비하여 모반사건에 가담하는 계층이 확대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鄭鑑錄』과 『道詵秘記』에 영향을 받은 무신여당의 모습도 확인되었다.
    무신여당 모반사건의 지역별 동향을 살펴보면 전라도의 유배지와 충청도 청주 지역에서 일어난 모반사건이 많았다. 이것은 반란을 일으켰던 인물들이 유배를 가서도 무신란의 재현을 시도하였던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청주 지역의 경우 무신란 당시 병영성 점령에 성공했고, 한양으로 진출한 반란군의 교두보가 되었던 지역으로 반노론 정서가 남아 있어서 무신여당의 모반활동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연구에서는 무신란 이후 실세한 소론들이 주로 무신여당으로 모반사건을 일으켰다고 보았다. 그러나 11건의 무신여당 모반사건 검토로 인하여 무신여당 인적 구성의 한 축은 지방의 남인이나 중인·양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당시 조정에서는 중앙 정치에서 소론을 견제할 필요가 있어서 소론 준론이 일으킨 무신여당 사건을 더욱 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Musinran, which took place in the fourth year(1728) of King Yeongjo's reign in Joseon, was the explosion of political conflicts among Noron, Soron and Namin in the form of disturbance. Even after the revolt was repressed, the “Musinyeodang” still supported and advocated the Musinran. They kept raising a revolt through the reign of King Yeongjo to return to the political arena or seize political power.
    Try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y, this study found and reviewed 11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recorded in Chuangeupgukan, which is a collection of investigations and written judgments for felons during Joseon.
    In the 11 revolt cases, the Musinyeodang raised a revolt in the forms of Goaeseo, conspiracy, and anonymous letter at the test site. Goaeseo was actively used by them since it was capable of instigating the people or forming public opinions. In case of anonymous letters at the site of the state exam, they would submit an anonymous letter containing disloyal content to the king in an obvious way at the open site where many people gathered. These anonymous letters were also influential.
    The revolt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uman composition of Musinyeodang: the revolts raised by those who took direct part in the Musinran, those raised by Soron members, those raised by Namin members, and those raised by individuals from various classes to mimic the Musinran. In the Musinran of 1728, the noblemen of Namin and Soron hardlinerssoron led the revolt. In the activities of Musinyeodang following the revol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various classes participated including collapsed local noblemen, Jungin, and common people as well as Soron hardlinerssoron and Namin. The scope of classes involved in the revolts expanded.
    The study then examined the local trends of the revolt cases by the Musinyeodang and found that their activities were prominent at places of exile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In the Musinran, they succeeded in occupying Byeongyeongseong near Cheongju, Chungchong Province. The activities of Musinyeodang were prominent especially in the area.




    Key words : 『Chuangeupgukan』, Musinyeodang, Conspiracy, Goaeseo, Anonymous letter at the test site, Mooshin Revolt, King Yeongjo, hardlinerssoron, Namin The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continued around the nation for about 30 years, which suggests that the Musinran continued to have impacts for many years even after it was repressed.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mainly Soron members raised a revolt on the back of Musinyeodang after losing their power due to Musinran. Many of the researches emphasized that noblemen in the Soron line were punished for the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The study, however, reviewed 11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and found that one of the axes in the revolts was local Namin members, Jungin and common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