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음악 연구 방법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용록의 민속악론을 중심으로- (A New Paradigm for Korean Music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the folk musicology of Oh Yong-rok-)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06
20P 미리보기
한국음악 연구 방법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용록의 민속악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9권 / 31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숙

    초록

    오용록이 수행한 민속음악의 연구 분야와 성과를 통하여 오용록이 보여준 민속음악의 대상과 개념에 대한 통찰을 살펴보고 그가 제시한 연구방법론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오용록의 학문 구상은 음악의 갈래나 분야에 따라 구별되거나 나뉘어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주제 의식은 전통적 사고방식을 체계화함으로써 기저의 음악 심층을 파악하는 일에 있으며, 전통적 사고방식을 재확인하고 새롭게 창조하는 작업으로 요약된다.
    오용록은 한국음악학이 태동한 이래 대부분의 학자들이 주력해 왔던 음악의 구조에 대한 집중에서 벗어나 이와는 다른 차원의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그동안의 연구가 악보의 분석과 선율 비교, 악곡 비교 등을 주로 논하는 음계와 선율, 악곡의 구조, 악곡간의 관련성 등에 주목했다면 오용록은 그러한 결과를 있게 한 동인(動因)의 파악에 더 주목한다. 그의 연구에서 제시한 바 구체적인 선율의 모체로서 숨어있는 ‘구조선율’에 대한 개념이나, 정적 음계론을 극복하고 선율적 움직임이 내재된 동적 음계론으로 파악하려는 구상 등은 이와 같은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오용록에게 전통음악이란 기층과 상층의 구도로 나뉘며 이들이 각각 상부의미체계 또는 하부의미체계와 상호 작용하여 생성하는 ‘이야기’를 의미한다. 이 이야기들은 고정적이거나 확정적인 대상이 아닌 변화하고 창조되는 실체이므로 입체적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오용록의 연구는 대상의 속성에 방법이 내재해 있다는 통찰에서 출발한다. 그 내재적 속성에 대한 성찰과 발견을 통해 전통적 사고체계를 계승하고자 한 점에서 한국음악학의 질적 연구를 개척한 학자로 평가할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Oh Yong-rok's insights into the objects and concepts of folk music through the fields and achievements of his research, and considers the research methodology presented by him. Oh Yong-rok's academic ideas do not exist as distinct or divided by the branches or fields of music. His theme is to systematize traditional thinking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usical depth. At the same time, it implies the task of reaffirming and creating a new way of thinking by identifying the changes in the deep layers.
    Oh Yong-rok suggests a different level of research, away from the focus on the structure of music that most scholars have focused on since the birth of Korean musicology. There’s been a lot of research on the connection between scales, melodies, structure of musical pieces, and the music itself , which mainly discuss the analysis of sheet music, melody comparison, and music comparison, Oh Yong-rok pays more atten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primary cause which made these results. The concept of "structural melody" hidden as the musical matrix of his research, or the idea of overcoming static scale theory that presents the melody as a compositional sound and identifying it as a dynamic scale theory with embedded melodic movements, came from this consciousness.
    For Oh Yong-rok, traditional music is divided into two levels of composition:the base, the top. It means a "story" that they create by interacting with the upper aesthetic system or the lower aesthetic system, respectively. These are stories that should be understood in three dimensions as changing and creating entities, not fixed or definitive objects. Oh Yong-rok's work starts with the insight that the method is inherent in the object itself. In conclusion he is regarded as a scholar who pursued the qualitative study of music in that he sought to inherit the traditional thinking system through reflection and discovery of its inherent attribu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