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대업(定大業)>과 <파진악(破陣樂)>의 연출 양식 비교 (Comparative Research on Jungdaeup(定大業) and Pazinac(破陣樂) in Terms of Performance Manne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0.12
23P 미리보기
&lt;정대업(定大業)&gt;과 &lt;파진악(破陣樂)&gt;의 연출 양식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용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5권 / 65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본 논문은 <정대업>과 <파진악>의 연출 양식을 비교하여 동이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에 앞서 두 악무의 창작과 전승 및 그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종 27년(1445)에서 세종 29년(1447) 6월 이전에 창작된 <정대업>은 세조 조에 『악학궤범』 「성종조 향악정재 도의」의 유형으로 바뀌었으며, <파진악>은 620년 군가의 유형으로 창작된 후 633년 가무악을 모두 갖춘 대곡 <파진악>으로 완성되기에 이른다. 기록에서 태조와 당 태종의 유사함을 강조했던 점을 확인했듯이, 두 악무는 모두 국가를 창업한 군왕의 무덕을 칭송하고자 했던 창작 의도가 같았으며, 이러한 정황으로 볼 때, <정대업>을 창작하는 데에 <파진악>을 모방하고자 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듯하다.
    다음은 연출 양식을 비교한 결과로, <정대업>은 춤대형 배열 순서에 따라 오행(五行)의 ‘상생(相生)’을 상징했으며, 무용수들도 마찬가지로 의상 색깔과 움직임의 방향을 통해 ‘음양오행(陰陽五行)’과 ‘상생’을 형상했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파진악>은 ‘팔진도(八陣圖)’의 대형을 기본으로 하여 “세 차례 바뀌는데 매번 네 가지의 진세[三變四陣]”로 변한 것 외에 사상적 표상을 논할만한 기록이 전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긴다. 결국 <파진악>은 팔진도를, <정대업>은 오행진을 바탕으로 춤대형을 구성하여 서로 다르지만, 모두 <문왕팔괘방위도(文王八卦方位圖)>를 바탕으로 한 제갈량의 팔진도를 근거로 한 진법(陣法)을 응용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고 하겠다.
    음악은 <파진악>이 북의 웅장한 소리를 특징으로 했다면, <정대업>은 ‘향당교주(鄕唐交奏)’의 연주로서 비교적 우아한 음색을 지녔다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가사에서도 <파진악>은 태종 한 사람의 업적을 노래한 반면, <정대업>은 세종의 선조인 목조(穆祖)ㆍ환조(桓祖) ㆍ태조(太祖)ㆍ태종(太宗)의 업적을 노래한 것으로 차이가 있다. 의상은 두 악무 모두 갑옷을 착용한 것은 동일하지만 <정대업>은 오행에 맞춰 갑옷의 색깔을 방위별로 달리 했고, 춤도구도 창ㆍ칼ㆍ활과 화살을 사용한 반면, <파진악>은 은색 갑옷에 창만 사용하여 차이를 드러냈다.
    결론적으로 <정대업>이 <파진악>을 모방했다는 것은 팔진도를 기초로 하여 춤대형을 구성한 점을 모방한 것이며, 무덕을 칭송하고자 했던 점에서 그 의의는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의상이나 춤도구는 확연히 달랐으며, 음악적 양상에서도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춤대형에서 팔진을 모방한 점은 같지만 실제 연출에서, <파진악>과 달리 <정대업>은 ‘음양오행’과 ‘상생’을 형상했다는 점에 그 우수성이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ungdaeup and Pazinac by comparing them in terms of performance mann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ungdaeup would symbolize the 'coexistence(相生)' of the five elements(五行) for dance formation, and at the end it represented the 'coexistence of yin-yang.' It could be said that Pazinac was different from Jungdaeup in terms of dace formation, as the former was based on Palzindo and the latter was based on the five elements. However,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 them in terms that they used the same Palzindo from Munwangpalgwaebangwydo(文王八卦方位圖).
    The difference of their music is that Pazinac used a magnificent drum sound and Jungdaeup used a graceful sound from 'Hyangdanggoyju(鄕唐交奏).’ The former sang the work of Taejong while the latter sang the works of Monjo(穆祖), Hwanjo(桓祖), Taejo(太祖), and Taejong(太宗) who were the ancestors of Sejong.
    There was a similarity in their dresses, especially in their armor code. But the difference of their dresses is that Jungdaeup used a variety of colors for its am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drawn from the idea of five elements as well as dancing instruments such as spear, sword, bow, and arrow, while Pazinac used only silver amor and a spear as a tool.
    As a result, it could be said that Jungdaeup might have imitated Pazinac because it used the same basic Palzindo for its dance formation and praised the work of k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ancing tools and dresses of Jungdaeup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azinac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ir musical representation. Also, in real performance, Jungdaeup clearly represented ‘yin-yang coexistence(陰陽相生)’ and this was the superiority of its perfor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