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에 보이는 악(惡)에의 대응과 그 의의 (On the Evilness in Shaman Epic of Jeju Islan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5.08
24P 미리보기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에 보이는 악(惡)에의 대응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26권 / 69 ~ 92페이지
    · 저자명 : 신연우

    초록

    제주도 신화에는 인간 세상에 왜 악이 존재하는지를 해명하는 <천지왕본풀이>가 있다. 태초의 시간에 소별왕이 속임수로 세상을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신화의 의의 중 하나는 이 세상의 악이 근원적이라는 합리적이고도 냉정한 현실 인식일 것이다.
    제주도 무가들은 <천지왕본풀이> 이후의 세계에 악이 존재하는 양상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실존하는 악 속에서 악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악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현실적 관심이 제주도의 일반신본풀이들에 수용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악인의 활동이 잘 드러나는 다섯 편인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차사본풀이, 세경본풀이, 문전본풀이를 대상으로 악행의 양상과 그에 대응 방식을 살펴보았다. 악행의 주체는 남녀나 상하, 빈부의 구별이 없었다. 피해자는 주로 여성과 아이들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악행은 살해이고, 여성에게 가하는 남성의 횡포는 주로 성적인 것이다. 여성은 재물에 대한 욕심으로 사람을 살해한다. 이들 본풀이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살인, 성적․계급적 횡포, 도둑질과 강도 등 구체적인 악이 엄존하는 곳임을 냉정하게 일깨워준다.
    동시에 악에 대한 대응 방식도 검토하는데 이는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정당한 복수로서의 살해, 악이 선과 같은 근원이기에 악과 더불어 살 수 밖에 없다는 인식, 종교로 승화하는 모습 등이 그 세 가지이다. 대응 살해는 현실에서는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문학에서는 정의라는 법감정을 충족시키는 구실을 한다. 현실적으로는 악과 더불어 살면서 지혜롭게 대처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나아가서 악이 선과 함께 세상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라는 점을 이해하게 되면서 종교적인 해결책을 강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악과 함께 신을 제시함으로써, 악이 있어 살기 어렵지만 신이 있어 살아갈 수 있다는 위안을 준다.
    그리고 이 답들은 굿 첫머리 초감제의 서사무가에서 소별왕의 속임수로 인하여 이 세상에는 근원적으로 악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의식과 함께, 어떻게 대응하여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답의 모색이 제주도 서사무가가 가진 한 가지 기능이라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삶의 현실적이고도 거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가능한 답을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 이야기들은 삶의 모방 또는 모형이다. 모형을 통해 세상과 자신의 삶을 객관화하고 삶의 본질에 대한 통찰을 얻는 중요한 방법이었다고 생각된다. 선과 악이 함께 삶을 구성하며 그 속에서 자신은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반성적 사유로 이끄는 구실을 했다는 점이 인정될 수 있다.

    영어초록

    <Chonjiwang Bonpoori>, one of the shaman epic of Jeju Island, explains why we have evilness in this world. It says it is because SobyulWang, one of the twin brother, took this world by deception at the time of the Beginning.
    Other five shaman epics of Jeju show us the aspects of the evilness we face, tell us what is it like to live with those evilness and how to treat them. We find pragmatic concerns against the evilness in our life.
    Five shaman epics are <Chogong Bonpoori> <Igong Bonpoori> <Chasa Bonpoori> <Segyung Bonpoori> and <Moonjun Bonpoori>, which have motifs of the villains or wicked men/women. And I examined the wicked deeds of them and the countermeasure of the other people.
    The subject of the bad deeds are across-the-board, men/women, haves/not-haves, upper/low class. Victims are women and children. Typical criminal is homicide and women are in danger of sexual assault by male. Women are blind with avarice and kill a person. These shaman epics bring us to our senses that we live in the world, in which is full of murder, fraud, robbery, and tyranny of sex and class.
    They tell us the three contingency plans against the evilness; Homicide as a righteous revenge, Sense of the reality that we should live with the evilness as the evilness has the same origins as the goodness from the beginning, Sublimating our minds to religious value.
    These stories are the imitations or the models of our life. We can objectify our life in this world and get discernment on how to live with the evilness. They show us the insight that this world is composed of good and evil at the same time by the roo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