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흙 화덕을 통해 본 아시아태평양의 음식과 젠더 (Food and Gender in Pacific-Asia: A Case Study on Earthen Oven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9
27P 미리보기
흙 화덕을 통해 본 아시아태평양의 음식과 젠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리뷰 / 5권 / 1호 / 165 ~ 191페이지
    · 저자명 : 카와이 도시미츠

    초록

    이 글은 태평양지역, 그중에서도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음식과 젠더에 관한 것이다. 말레이시아, 동인도네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섬들을 포함하는 이 지역에서는 우주 전체의 절반에 해당하는 남성과 여성의 구별을 강조한다. 많은 학자는 동인도네시아에서 아내를 주는 쪽과 받는 쪽 사이에 존재하는 남성과 여성의 상징적 구별의 분리와 통합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몇몇은 그 초점을 다른 방향으로 바꾸었다.
    그중 하나는 말레이시아에서 함께 먹고 생활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생식활동에서 유래한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생물학적 연계가 없다 하더라도 같이 생활하고 같은 음식을 공유함으로써 친족관계로 변화한다. 같이 생활하며 화덕을 공유하는 과정은 생명을 낳는 과정이다. 또 다른 집단은 동남아시아에서의 친족과 음식에 관한 책을 저술하였다. 그들은 젠더와 쌀 그리고 다른 주식(主食)과의 관계에 관심을 두었다.
    이 글은 음식과 젠더에 대한 이와 같은 주제를 오세아니아 흙 화덕의 관점에서 살펴보려 한다. 흙 화덕이란 커다란 구멍속의 가열한 돌 위에서 재료를 찌는 도구다. 이 구멍은 많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구멍과 통로의 이미지는 오세아니아 사회에서 중요하다. 피와 물이 몸 안에서 순환하듯이 생명이 세계 밖으로 흘러간다고 생각한다. 마치 인간의 몸에 음식과 물, 생명이 들어오는 구멍이 있듯이, 모든 것에 많은 구멍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우주 전체의 반쪽인 남성과 다른 반쪽인 여성 간의 이원적 구별에 관한 연구는 오세아니아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다. 일례로, 피지에서는 남성과 여성 사이에 분리된 영역이 존재한다. 땅은 남성 쪽으로 여기는 반면, 바다는 여성 쪽이라고 여긴다. 양쪽은 분리된 ‘구멍’(영역)으로, 이곳에서는 의례적인 음식 금기가 관찰된다.
    흙 화덕은 남성 쪽에 속하지만 채소와 해물 두 식재료를 모두 이 구멍에서 요리한다. 즉, 흙 화덕은 남성과 여성의 구멍을 통합하는 장소다. 통합이 의미하는 것은 양쪽을 결합하는 제3의 프로토타이프적인 도식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food and gender of the Pacific areas, especiallyAustronesian language-speaking groups. In these areas includingMalaysia, Eastern Indonesia, and most islands of Oceania, societies placegreater stress on the polar division between the male and female halvesof the cosmological unity. Many scholars have focused on the separationand integrity between wife givers and wife takers in the symbolic divisionbetween males and females in East Indonesia, but some have turned theirfocus to other points.
    One scholar proposed “relatedness” derived from acts of procreation andfrom living and eating together in Malaysia. The relationships are transformedinto kinship by living together and sharing food, even if they werenot biologically related. The process of living together and sharing a hearthis a life-giving process. Another group of scholars edited a book on kinshipand food in South East Asia. They were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genderassociations with rice and other core staple crops.
    Similarly, this paper seeks to explore food and gender from the viewpointof Oceanic earthen ovens. The oven is a kind of hearth to steamingredients on the heated stones in a big hole in the ground. The hole has many symbolic meanings. As is well known, the image of a hole anda path is important in Oceanic societies. It is also thought that life form flows throughout the world just as blood and water circulate inside of one’s body. This is thought to be possible since everything has many holes justlike a human body that has orifices through which food, water, and theother life forms are consumed.
    The study of the dual division between male and female halves of thecosmological unity has a long history in the Oceania. To take an example,there exist separated domain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Fiji. Land isthought to be the male side while the sea is the female side. Both sides areseparated “holes” between which food taboo is observed ritually.
    The earthen oven belongs to the male side, but the both foodstuffs,vegetables and seafood, are placed in this hole and cooked. It is a place ofunity between the male and female holes. I insist that the meaning of theunity is a part of prototypical schemata of thirdness that ties both sid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